학술논문
1910년대 조사 자료를 통해 본 화순 운주사 석탑의 양상 고찰
이용수 48
- 영문명
- A Study of the Aspects of the Stone Pagodas at Unjusa Temple in Hwasun as Seen in Research Materials from the 1910s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저자명
- 오호석(Hoseok Oh)
- 간행물 정보
- 『백산학보』第130號, 179~20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운주사는 한국 불교미술사상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문화유산이다. 많은 석탑이 집중적으로 건립된운주사는 고려시대 조탑신앙이 실현된 곳으로 전통적인 신라식 석탑들과는 차별화되는 고려식 석탑을대표한다.
그동안 운주사 석탑의 조사기록 가운데 가장 선행하는 학술적 조사 자료는 노무라 요시후미(野村孝 文)가 1940년 8월 발표한 「全羅南道多塔峰の遺蹟」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공개된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를 통해 이미 1910년경에 일괄 조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문서로그동안 알려져 왔던 일제강점기 사진, 특히 『朝鮮古蹟圖譜』의 사진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유리원판 사진과의 관련성이 확인되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1909년 8월부터 통감부 탁지부가 실시한 세키노 타다시(關野貞)의 『明治43年 度 朝鮮遺蹟調査略報告』(1910)와 함께 조사에 참여한 야쓰이 세이이쓰(谷井濟一)의 촬영 사진으로발간된 『조선고적도보』를 비롯하여, 1914년 조선총독부 학무국에 의해 도리이 류조(⿃居⿓藏)가 실시한 제4회 史料 調査의 「寫眞原板⽬錄(全羅南道地⽅)」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유리원판, 그리고 1917년 실시된 화순군 고적 및 유물조사 자료 및 「古蹟及遺物臺帳」 등을 분석하여 운주사석탑의 조사 연혁을 정리하였다. 또, 1917년 작성된 「全羅南道 登錄原稿 五」와 1919년 촬영된 「多塔 峯寫眞原板⽬錄」을 원판과 비교하여 운주사 석탑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현존하는 운주사 석탑은 적어도 1910년대 전부터 원형이 유지된 진정성과 완전성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라는 점을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Unjusa Temple in Hwasun is a cultural heritage site with no precedent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art. The temple, known for its numerous stone pagodas, represents the realization of Goryeo Dynasty religious beliefs through stone pagodas. It exemplifies a unique style of Goryeo stone pagodas distinct from the traditional Silla-style pagodas.
The earliest academic research records on the stone pagodas at Unjusa Temple are known as the “Remains of the Dapyeong Pagodas in Jeollanam-do (全羅南道多塔峰の遺蹟),” published by Nomura Yoshihumi in August 1940. However, recently uncovered documents fro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have confirmed that a comprehensive survey of the site was conducted around 1910. These documents establish connections between photographs previously known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articularly those found in the “Ancient Relics Maps and Photo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古蹟圖譜)” and the glass plate photo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reserved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is paper investigates and summarizes the survey history of the stone pagodas at Unjusa Temple, beginning with Sekino Tadashi’s “Survey of the 43rd Year of the Meiji Era on the Remains of Korea (明治43年度 朝鮮遺蹟調査略報告)” (1910), conducted by the Finance Department of the Japanese Resident-General's Office in August 1909. It also examines the “Remains of the Dapyeong Pagodas in Jeollanam-do (全羅南道多塔峰の遺蹟),” published with photographs taken by Yatsui Seiitsu, a participant in the survey.
The study includes an analysis of the “Original Photographic Negatives (Jeollanam-do Province)” from the fourth historical records survey conducted by Torii Ryuzo in 1914 under the Korean Governor-General's Education Bureau, as well as the glass photo plat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l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dditionally, it examines data from the 1917 survey of historic sites and relics in Hwasun-gun and the “Historic Sites and Relics Logbook (古蹟及遺物臺 帳).” Furthermore, changes in the stone pagodas of Unjusa Temple were assessed by comparing the “Jeollanam-do’s Original Registration Document Five (全羅南道 登錄原稿 五),” created in 1917, and the “Datapbong Peak’s Photo Original Plate List (多塔峯寫眞原板⽬錄),” compiled in 1919, with the original plates. This analysis confirms that the existing stone pagodas at Unjusa Temple are cultural heritage artifacts that demonstrate authenticity and integrity, having maintained their original forms since at least the 1910s.
목차
Ⅰ. 머리말
Ⅱ. 1910년대 전반기 조사 자료
Ⅲ. 1910년대 후반기 조사 자료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구려 고분벽화 飛天 도상에 구현된 미의식 고찰
- 조선 15~16세기 백자의 이미지 형성과 변용
- 한국 탈놀이의 민속학, 미술사학과 미학의 실증적 접점에 대한 동서양 학제간 고찰
- 최남선의 만주기행과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 인식 - 『송막연운록』과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 6세기 세계사를 보는 窓 : 〈梁職貢圖〉 - 텍스트와 연구 동향
- 백산학보 제130호 목차
- 분묘를 통해 본 조선후기 영동지역 사회변화 - 고성 아야진리 유적을 중심으로
- 1910년대 조사 자료를 통해 본 화순 운주사 석탑의 양상 고찰
- 신라 패강장성의 위치에 대하여
- 集安지역 고구려 도성의 공간과 주민구성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