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세기 세계사를 보는 窓 : 〈梁職貢圖〉 - 텍스트와 연구 동향
이용수 52
- 영문명
- A Window into Six Centuries of World History : Liang Chih-Kung-T’u(“梁職貢圖”)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저자명
- 윤용구(Yonggu Yun)
- 간행물 정보
- 『백산학보』第130號, 105~1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남조 梁의 蕭繹(508~554)이 그린 〈梁職貢圖〉의 원본은 남아 있지 않지만, 현재 전하는 4종의 模本 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연구 동향을 정리한 것이다.
문헌이 아닌 실물을 통한 〈양직공도〉 연구 1960년 金維諾(1928~2018)이 재발견한 「北宋模本」을기점으로 시작되었다. 百濟國使圖와 百濟國記가 처음 확인되었다. 「북송모본」의 사신도와 그에 旁題 된 사행국의 題記를 통하여 榎一雄(1913~1989)은 職貢圖 제작의 기원ㆍ『양서』 제이전과의 관계 및당송대 직공도를 열람 및 소장한 기록을 찾아내어 〈양직공도〉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榎一雄은 1987년 대만 故宮博物院에서 唐~五代 무렵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2종의 모본(「高德謙模本」, 「傳閻立本模本」)을 발견하였다. 「북송모본」과 다른 백제국 사신도와 함께 신라와 고구려 사신도가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여기에는 題記가 없지만, 墨本과 粉本의 사신도는 〈양직공도〉의 모본제작의 다양성 만이 아니라 복식사ㆍ회화사로 연구가 심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2011년 趙燦鵬(1973~ )은 1739년 張庚(1685~1760)이 작성한 〈양직공도〉 모본 가운데, 題記 만을 청말 葛嗣浵(1867~1935)이 再錄한 것을 찾아냈다. 여기에는 고구려와 斯羅(신라)의 제기 등 「北宋 模本」에 없거나 훼손된 9개국 제기가 포함되어 사료적 가치를 더하였다. 「장경모본」의 발견을 계기로하여 2012년 대규모 국제학술회의를 비롯하여 2013년부터는 중국의 세계 전략인 “一帶一路”에 부합하는 연구 주제로 여겨져 최근 더더욱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영문 초록
Liang Chih-kung-t’u(“梁職貢圖”) is a scroll painting depicting a portrait of a foreign envoy who visited Liang, China, and records the geography and customs of the country. The original has disappeared, and there are currently four types of copies made between Tang and Song.
The North Song copy(北宋模本) was discovered in 1960. There is a map of the envoys of the 12 countries and a title of the 13 countries. There are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Baekje, but most of them are western countries on the Silk Road. It is regarded as a valuable source of research on Western history. Only the envoy's map remains in “Gudeokgyeom copy(顧德謙模本)” and “Yeripbon copy(閻立本模本)” which were rediscovered in 1987. The black-and-white and colored Shishin-t’u(使 臣圖) are regarded as valuable materials for the study of the history of painting and the history of clothing.
The book “Jang Gong copy(張庚模本)” which was discovered in 2011, has a title on the country of envoys from 18 countries. More than half of them, nine countries' ritual vessels play a major role in revitalizing the study of the “Liang Chih-kung-t’u” In particular, the “Liang Chih-kung-t’u” is considered a research topic that matches China's global strategy of “Belt and Road(一帶一路)” which began in earnest in 2013. This is the reason why research on “Liang Chih-kung-t’u” is active in China these days.
목차
Ⅰ. 머리말
Ⅱ. 〈양직공도〉의 모본
Ⅲ. 연구 현황과 과제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구려 고분벽화 飛天 도상에 구현된 미의식 고찰
- 조선 15~16세기 백자의 이미지 형성과 변용
- 한국 탈놀이의 민속학, 미술사학과 미학의 실증적 접점에 대한 동서양 학제간 고찰
- 최남선의 만주기행과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 인식 - 『송막연운록』과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 6세기 세계사를 보는 窓 : 〈梁職貢圖〉 - 텍스트와 연구 동향
- 백산학보 제130호 목차
- 분묘를 통해 본 조선후기 영동지역 사회변화 - 고성 아야진리 유적을 중심으로
- 1910년대 조사 자료를 통해 본 화순 운주사 석탑의 양상 고찰
- 신라 패강장성의 위치에 대하여
- 集安지역 고구려 도성의 공간과 주민구성
참고문헌
- 문화유산
- 文物
- 中山大學學報(社會科學)
- 문화유산
- 東方學
- 世界美術大系
- 東方學
- 風俗
- 高麗大學校開校60週年紀念論文集(人文科學篇)
- 鎌田博士還曆記念 歷史學論叢
- オリエント
- 百濟硏究
- 歷史と旅
- 東方學會創立四十周年記念 東方學論集
- 古籍整理硏究學刊
- 東洋文庫書報
- 古代の探究
- 新疆社會科學
- 東アジア史上の國際關係と文化交流
- 文物
- 燕京學報
- 朝鮮半島に流入した諸文化要素の 硏究 2
- 朝鮮史硏究會論文集
- 東아시아 歷史의 還流
- 魏晋隋唐史硏究
- 服飾
- 美術研究
- 中國語文論叢
- 六朝藝術
- 中国美術史論文集
- 百濟文化海外調査報告書
- 裝飾
- 력사과학
- 中华文化画报
- 文史
- 文史
- 新课程学习‧中
- 美術
- 遣隋使がみた風景
- 龜玆學硏究
- 専修大学社会知性開発研究センター東アジア世界史研究センター年報
- 百濟文化
- 木簡과 文字
- 勉誠出版
- 한국고대사연구의 자료와 해석
- 漢文學論集
- 東洋史研究
- 荣宝斋
- 中国艺术研究院 碩士學位論文
- 北华大学学报(社会科学版)
- 백제학보
- 국학연구
- 散文百家(新语文活页)
- 학연문화사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