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集安지역 고구려 도성의 공간과 주민구성
이용수 54
- 영문명
- The Spatial Structure and Inhabitants of Goguryeo's Capital in the Ji'an Region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저자명
- 권순홍(Soonhong Kwon)
- 간행물 정보
- 『백산학보』第130號, 77~10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집안지역 고구려 도성 공간의 시기적 변천과 거주공간의 범위, 주민의 구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환인에서 집안으로 개도했을 당시의 중심지는 집안 분지의 서쪽, 마선구 일대였고, 3세기경부터는 집안 분지의 중앙에 해당하는 집안 평지성 일대가 중심지가 되었다. 방위명부는 도성 공간의구획 및 편제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는 전제 아래, 3세기 중반경 새로운 평지 도성의 조영과, 같은시기 시작된 나부 지배세력의 도성 이주 현상이 주목되었다. 이에 따라 나부 지배세력 출신으로 고유명부를 관칭하는 상위관등 소지자는 평지 성곽의 내부에 거주할 수 있었고, 상대적 하위관등 소지자는평지 성곽 외부에 구획/편제된 방위명부에 거주했던 것으로 해석되었다. 단, 3세기 후반 이후 나부의해체 및 관등제 일원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부를 관칭하던 종래의 관례가 사라지게 되었다. 한편, 도성의 주민구성은 크게 ‘도시귀족’, 小家, 빈민/하층민의 세 부류로 분류된다. 사료에서 좌식자 혹은 大家 로 표현되는 ‘도시귀족’을 도성 외부로부터, 부세의 형태로 식량을 공급받는 자들로 정의하였다. 小家 는 ‘도시귀족’에게 부세를 납부하는 하호가 아니라, 왕/국가/정부에 납부하는 ⺠으로서, 자급하는 농민과 도시의 수공업자, 하급관료 및 군인과 그 가족들을 포함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도시귀족’, 小家 등의 민에게 기생하며 생존해야 했던 용작농 등 빈민/하층민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emporal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Goguryeo's capital city in the Ji'an region, as well as the extent of residential areas and the composition of its inhabitants. When the capital was relocated from Huanren to Ji'an, the central area was situated in the western part of the Ji'an basin, around the Masangu area. From the 3rd century onward, the central area shifted to the Ji'an plain fortres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Ji'an basin.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directional administrative divisions”(방위명부)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ve structure of the capit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construction of a new plain capital in the mid-3rd century and the concurrent migration of ruling elites from the Na-bu (one of Goguryeo's administrative divisions) to the capital. Accordingly, it was interpreted that high-ranking officials, referred to by their specific Na-bu names, resided within the inner walls of the plain fortress, while relatively lower-ranking officials lived in the directional administrative divisions outside the fortress.
The composition of the capital's inhabitants was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urban aristocrats,” small households (小家), and the poor/lower classes. The “urban aristocrats,” referred to in historical records as “residential elites” or “great households”(大家), were defined as those who received food supplies in the form of taxes from outside the capital. Small households (小家) were not subordinate households paying taxes to the “urban aristocrats” but were defined as commoners who paid taxes directly to the king, state, or government. This group included self-sustaining farmers, urban artisans, lower-ranking officials, soldiers, and their families. Additionally, the existence of impoverished or lower-class individuals, such as tenant farmers who depended on the “urban aristocrats” and small households for survival, was also identified.
목차
Ⅰ. 머리말-집안지역 고구려 도성 연구의 최신동향
Ⅱ. 3세기 집안지역 도성 공간의 변천
Ⅲ. 도성인의 거주구역과 방위명부
Ⅳ. 도성의 주민구성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구려 고분벽화 飛天 도상에 구현된 미의식 고찰
- 조선 15~16세기 백자의 이미지 형성과 변용
- 한국 탈놀이의 민속학, 미술사학과 미학의 실증적 접점에 대한 동서양 학제간 고찰
- 최남선의 만주기행과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 인식 - 『송막연운록』과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 6세기 세계사를 보는 窓 : 〈梁職貢圖〉 - 텍스트와 연구 동향
- 백산학보 제130호 목차
- 분묘를 통해 본 조선후기 영동지역 사회변화 - 고성 아야진리 유적을 중심으로
- 1910년대 조사 자료를 통해 본 화순 운주사 석탑의 양상 고찰
- 신라 패강장성의 위치에 대하여
- 集安지역 고구려 도성의 공간과 주민구성
참고문헌
- 한국문화
- 韓國考古學報
- 역사문화연구
- 한국고대사연구
- 역사와 현실
- 한국고대사연구
- 歷史學報
- 고구려발해연구
- 역사문화연구
- 사림
- 사학연구
- 고대도성과 월성의 공간구조와 경관
- 숙명한국사론
- 慶北史學
- 한국고대사연구
- 선사와 고대
- 白山學報
- 한국고대사연구
- 歷史學硏究
- 한국고대사연구
- 歷史學報
- 韓國古代史探究
- 고구려의 국가 형성
- 嶺南學
- ⾼句麗渤海硏究
- 한국상고사학보
- 한국고대사연구
- 한국고대사연구
- 역사문화연구
- 한국고대사연구
- 한국고대사연구
- 삼국시대 고고학개론 1
- 역사문화연구
- 삼국시대 국가의 성장과 물질문화 1
- ⾼句麗渤海硏究
- ⾼句麗硏究
- 歷史學報
- 震壇學報
- 歷史學報
- 한국고대사연구
- 한국고대사연구
- 한국의 도성
- 고구려 왕릉 연구
- 韓國史學報
- 사학연구
- 역사문화연구
- 韓國史學報
- 韓國史學報
- 고구려사 연구의 현단계와 과제 모색(고구려 통사 완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 한국고대사연구
- 한국고대사연구
- 삼국시대 국가의 성장과 물질문화 1
- 韓國史硏究
- 歷史學報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