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자녀-부모 가구 간 자원 공유정도 측정을 위한 지수 개발: EFA와 CFA의 활용
이용수 108
- 영문명
- An index measuring the degree of resource sharing between adult-child and parent households: EFA and CFA approache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민인식(Insik Min) 홍경준(Kyung-Zoon Hong) 최희정(Heejeong Choi) 전예지(Yeji J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83권, 33~5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독립된 가구를 구성하는 성인자녀-부모 가구 간 조직적 자원의 공유정도를 측정하기위해 공유 지수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가구의 개념과 세대 간 결속에 관한문헌을 고찰하고, 심층면접 조사를 통해 18개의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다음 단계로 공유 지수를산출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서 부모와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30분 이내 거리에 거주하는자녀 50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조사자료를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 17개 문항, 2개의 하위요인(“실질적 지원 및 공동 활동”, “가족적 친밀감 및 상호지원”)으로부터 공유 지수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공유 지수의 타당성 검증결과 공유지수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준다. 공유지수를 적용하여 부모가구의 소득분배 지표가11~24% 정도 개선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고 이는 해당 지수의 활용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부모와 성인자녀 가구의 자원 공유 정도를 측정하는 지수 개발 및 그 활용의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index that measures the degree of resource sharing between adult child and parent households. As a first step, we review the literature concerning the definition of households and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Subsequent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 construct 18 survey questions. To create a sharing index, a survey is implemented with 500 adult child households living within a 30-min distance from their parents in Seoul and Gyoengi Provinc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resulting in the derivation of sharing index from two sub-factors based on 17 observed items. The validation of this index yields consistent results with the two survey item on “shared daily life with parent household” and “shared livelihoods with parent household”. By applying the index to recalculate the poverty rate, we discover that the income distribution indicator of parent households could improve by approximately 12-35%. Empirical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utility of this index.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developing an index to measure the extent of resource sharing between parent-adult child households.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고찰
III. 설문 및 분석방법
IV. 공유지수 개발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