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대학 전공동아리 참여 경험과 요구
이용수 30
-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and Needs in University Major-Related Clubs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희영(Hee-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8권 제4호, 119~14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시절 전공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현직 영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전공동아리 참여 경험과 요구를 질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1년 이상 전공동아리 활동을 수행하고, 교직 경력이 2년 이상인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6명으로 선정되었다. 자료 수집은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 분석 절차에 따라 점진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영유아교사의 전공동아리 경험은 크게 ‘자율성과 학습의 균형’, ‘대인관계의 확장과 성장’, ‘나만의 주력 분야 개발’로 요약되었다. 또한, 영유아교사들은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전공동아리 운영에서 ‘실질적 역량을 키우는 주제’, ‘현장 연계와 토론 기반의 운영 방식’, ‘물리적·재정적 지원의 필요성’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전공동아리 활동이 예비교사의 자율적 학습과 전문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강조하며, 이러한 활동이 교직 진출 후 영유아교사로서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영유아교사 교육에서 전공동아리 활동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experiences and demands of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major-related club activities during their university years. Six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teachers, each with more than one year of major club activity and over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rogressively analyze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procedu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major-related clubs were summarized into three main themes: ‘balance between autonomy and learning,’ ‘expansion and growth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of one’s own specialization.’ Additionally, the teachers expressed demands for major-related club activities to focus on ‘topics that enhance practical skills,’ ‘operation methods based on field engagement and discussions,’ and ‘the need for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t role of major-related club activities in foster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enhancing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such activities can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ter entering the teaching profes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he importance and effective strategies for operating major-related clubs in the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경력 보육교사의 유아 놀이 지원 학습공동체 경험 탐색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재원 유아부모의 통합보육 이용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유아의 또래유능성 개입에 대한 요구분석: 주양육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 영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아동복지시설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 프로그램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이해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PBL 기반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 어린이집 교사의 학습공동체가 자기성찰지능과 교사효능감, 영유아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대학 전공동아리 참여 경험과 요구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지원효능감의 관계에서 놀이민감성의 매개효과
- 한국과 미국의 영유아보육과정 비교연구 - 성격, 배움에 대한 접근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구성주의 신념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 논집
- 교 육문화연구
- 학 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국내석사 학위논문
- 한국 융합학회논문지
- 교육혁신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 비교과교육연구
- 영유아교 육·보육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한국영유아보 육학
- 박사학위논문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교양교육연구
- 아동학회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열린유아교육연구
- 인문사회 21
- 국내 석사학위논문
-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한국핵심역량교육 학회 학술대회지
- 어린이미디어연구
- 생태유아교육연구
- 경기도: 정민사
- 교양교육연구
- 영 유아교육·보육연구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교육종합연구
- 어린이미디어연구
- 교육논총
- 국내석사학위논문
- 예술교육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석사학위논문
- 국내 석사학위논문
- Educational Forum
-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 학지사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