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유아의 또래유능성 개입에 대한 요구분석: 주양육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이용수 108
- 영문명
- Need Analysis for Peer Competence Intervention in Young Children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s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최수경(Sukyoung Choe) 심효진(Hyojin Shim) 박은경(Eunky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8권 제4호, 205~2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유아의 또래유능성 개입에 대한 요구분석을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또래관계 어려움이 있는 유아의 주양육자 6명과 또래관계에 도움을 주는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면담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주제, 7개의 범주, 17개의 하위범주, 53개의 의미단위가 확인되었다. 3개의 주제로는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유아사례 개입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유아의 또래유능성 개입방법’, ‘유아의 또래유능성 개입에 대한 제언’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세 가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유아들을 지원하는 기관을 마련하여 전문가 양성 및 지원의 중심역할을 해야 한다. 둘째, 빠른 개입을 위해 관찰 및 중재 가능한 유아전문상담교사를 유아교육기관에 별도 배치해야 한다. 셋째, 발달단계에 적합한 또래유능성 증진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주양육자 및 전문가 진술을 통해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유아의 또래유능성 개입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s for peer competence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ho have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with six primary caregivers of young children experiencing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and six experts who assist with peer relationship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identified three main themes, seven categories, 17 subcategories, and 53 meaningful units. The three themes derived wer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rvention process for young children experiencing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Methods for enhancing peer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and ‘Suggestions for peer competence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The thre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stitutions that support young children with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should be established to play a central role in the training and support of experts. Second, to facilitate prompt interventions, specialized early childhood counselors capable of observation and mediation should be separately plac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rd, education aimed at enhancing peer competence suitable for developmental stages should be promo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demands for peer competence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s through the statements of primary caregivers and exper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경력 보육교사의 유아 놀이 지원 학습공동체 경험 탐색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재원 유아부모의 통합보육 이용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유아의 또래유능성 개입에 대한 요구분석: 주양육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 영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아동복지시설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 프로그램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이해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PBL 기반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 어린이집 교사의 학습공동체가 자기성찰지능과 교사효능감, 영유아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대학 전공동아리 참여 경험과 요구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지원효능감의 관계에서 놀이민감성의 매개효과
- 한국과 미국의 영유아보육과정 비교연구 - 성격, 배움에 대한 접근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구성주의 신념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 한국산학 기술학회논문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열린부모교육 연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어린이문학 교육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목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아교육연구
- 생애학회지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보육학회지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대한가정학회지
-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놀이치료 연구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열린유아교육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아교육학논집
-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교육문화연구
-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울: 동문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교육 연구
-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술치료연구
- 아동학회지
-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 세영사
- 열린부모교육연구
- 열린부모교육연구
- 교육과학연구
- 이기숙, 강숙현 공역
-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 송제훈 역
-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 Child Development
- Child Study Journal
-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 Australia; Belmont, CA: Wadsworth/Thomson Learning
- London: SAGE
-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The Image of China in Irish Literature Since the 20th Centu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