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시대의 미술교육에서 그리기 활동 탐색 - 학생들의 인식과 예술적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용수  187

영문명
Exploring Drawing Activitiesin Art Education of the Digital Age : Focusing on the Impact on Students' Perceptions and Artistic Expression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수경(Su Gyeong Kim)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第38券 4號, 122~152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미술교육에서 그리기 활동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변화가 학생들의 인식과 예술적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드로잉, VR 드로잉, 생성형 AI, 가상 미술관과 같은 새로운 매체의 도입이 미술교육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본 후, ‘미술과 기술의 교차점에서 창작을 꿈꾸다’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디지털 매체 도입은 그리기 활동의 전통적 인식을 넘어 비물리적 가능성을 새롭게 조명했다. 둘째, 디지털 창작과 감상의 다차원적 경험은 학생들에게 실험적 창작 활동을 촉진하고, 기존의 표현 방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예술적 통찰을 제공했다. 셋째, 예술과 기술의 갈등 속에서 학생들은 두려움과 기대감을 동시에 경험하며, 기술 변화와 사회적 적응 과정에서 자신의 진로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하였다. 이 연구는 디지털 기술이 미술교육에서 그리기 활동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며,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drawing activities in art education are transforming in the digital age and analyzes the impact of these changes on students' perceptions and artistic expressions. The introduction of new media such as digital drawing, VR drawing, generative AI, and virtual art galleries into art education was examined, followed by an empirical study involving students through the program “Dreaming of Creation at the Intersection of Art and Technology”. The findings are threefold: firstly, the adoption of digital media has illuminated new non-physical possibilities beyond the traditional perceptions of drawing activities. Secondly,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ce of digital creation and appreciation has fostered experimental creative activities among students and provided new artistic insights that transcend conventional expression methods. Thirdly, amidst the conflict between art and technology, students experienced both fear and anticipation, deeply reflecting on their career paths during the technological change and social adaptation process. This research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how digital technologies are reshaping drawing activities in art education and offer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art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디지털 시대의 미술교육 이해
Ⅲ. 연구의 설계와 프로그램의 실제
Ⅳ. 연구 결과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경(Su Gyeong Kim). (2024).디지털 시대의 미술교육에서 그리기 활동 탐색 - 학생들의 인식과 예술적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38 (4), 122-152

MLA

김수경(Su Gyeong Kim). "디지털 시대의 미술교육에서 그리기 활동 탐색 - 학생들의 인식과 예술적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38.4(2024): 122-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