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영재교육 실행 주체 간의 협력적 파트너십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H 대학부설 미술영재교육원을 중심으로
이용수 75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ollaborative Partnerships among the Practitioners of Gifted Art Education : Focused on the H University Center of Gifted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정(Hyeon Jeong Lee) 김선아(Sun Ah Kim)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8券 4號, 41~7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영재교육 실행 주체 간의 협력적 파트너십 형성 과정을 탐구하기 위해 H 대학부설 미술영재교육원을 중심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H 영재원 실행 주체들이 인식해 가는 자신의 역할을 토대로 ‘실행 주체의 티키타카: 매끄러운 변환’, ‘안정된 시스템, 파급되는 아이디어: 순환적 문화’, ‘미술영재에게로 향하는 협력: 주도성과 공감’에 대한 협력적 파트너십 형성 과정이 발견되었다. 이는 실행 주체들 간의 맥락들이 모여 개인별 특성에 맞는 미술영재 교육과정의 운영 가능성을 확장시켰다. 이렇듯 미술영재교육 파트너십은 다양한 참여자에 따른 관점의 다각화로 교육적 성과를 확산시켜 나갈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의 전문성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행정의 맥락까지도 고려해야 하며, 각자가 맡은 역할을 세분화하여 힘든 것들을 나누고 고민을 공유하여 책임을 분산시킴으로써 부담감을 줄여 나갈 수 있는 대책 차원으로 창의성을 고민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focused on the H university center of gifted art education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ing the collaborate partnerships among the practitioners. The findings delineate a collaborative partnership process characterized by “The Synergy of the Practitioners: Smooth Transitions”, “Stable Systems and Spreading Ideas: A Circular Culture” and “Collaboration Towards Art Giftedness: Agency and Empathy” as perceived and enacted by the practitioners. These processes, shaped by the interplay of contextual dynamics among practitioners, have broadened the potential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curricula tailored to the unique attributes of gifted art students. Such partnerships underscore the capacity to enhance educational outcomes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perspectives contributed by various participants. To this end, it is imperative to not only advance the professional expertise of educators but also address administrative contexts. By refining role delineation, distributing responsibilities, and fostering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the burden on individual practitioners can be alleviated, creating a conducive environment for nurturing creativity as a strategic imperative.
목차
Ⅰ. 서론
Ⅱ. 미술영재교육을 위한 협력적 파트너십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