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hulman의 PRA모델에 근거한수업 분석 경험에 관한 소고

이용수  28

영문명
Based on Shulman's PRA model Reflections on the experience of teaching analysis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정선(Jung Sun Kim)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第38券 4號, 98~121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교수로서 효과적인 수업 방식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여 연구자 스스로의 수업을 성찰한 실행연구이다. 수업의 전문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Shulman의 PER모델에 근거하여 수업 전 이해와 전환 과정, 실행과 평가의 과정, 수업 후의 성찰과 새로운 이해의 과정을 거치며 연구자 자신의 수업을 살펴보았다. 수업 분석과 성찰 경험을 통하여 연구자는 교수내용지식의 관점에서 볼 때, 목표와 연결되지 않은 내용 중심의 이해에 머물러 있었을 뿐만 아니라 학습 대상의 수준에 대한 이해 부족, 교수자를 우선하는 태도,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의 어려움, 내용 중심의 모호한 평가 등 수업에 대해 연구자가 미처 알아차리지 못했던 측면을 점검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험을 통해 수업의 각 과정을 과정 간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더 체계적으로 살펴보게 되었고 수업을 보는 관점을 확장하였으며, 교수자로서 계속 변화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수업 분석과 성찰의 경험을 통해 교사는 수업과 수업의 성찰을 통해서만 수업을 개선할 수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action study that began with concerns about effective teaching methods as a professor at 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reflected on the researcher's own teaching.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eaching expertise and based on Shulman's PER model, the researcher's own teaching process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pre-class understanding and conversion proces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process, and post-class reflection and new understanding. Through this class analysis and reflection experience, the researcher not only remained in a content-centered understanding that was not connected to the goal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ing content knowledge, but also lacked understanding of the level of the learning target, an attitude that prioritized the instructor, and interactions with learners. It was possible to check aspects of the class that the researcher had not noticed, such as difficulties in class and ambiguous evaluation centered on content. In addi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class analysis and reflection, I was able to look at the class more systematically, expand my perspective on the class, and confirm the necessity of continuing to change as an instructor. In conclusion, through the process of class analysis and reflection, it was reaffirmed that instructors can teach better only through class and class reflect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선(Jung Sun Kim). (2024).Shulman의 PRA모델에 근거한수업 분석 경험에 관한 소고. 미술교육논총, 38 (4), 98-121

MLA

김정선(Jung Sun Kim). "Shulman의 PRA모델에 근거한수업 분석 경험에 관한 소고." 미술교육논총, 38.4(2024): 98-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