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Humanae 프로젝트를 활용한 다문화 미술교육

이용수  70

영문명
Multicultural Art Education Utilizing the Humanae Project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최미애(Mi Ae Choi)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第38券 4號, 71~9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ngélica Dass의 Humanae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초등교육현장의 다문화 미술 교육의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21세기 글로벌사회는 인종과 문화의 다양성이 확산됨에 따라,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시기는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이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배울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적 이해와 포용성을 키우기 위해 미술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Dass의 Humanae 프로젝트가 미술 교육에서 어떤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그 실천적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다문화 교육을 미술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급변하는 글로벌 사회에서 자아에 대한 긍정적 정체성 확립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기를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actical methods for implement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ettings using Angélica Dass's *Humanae* project. In the 21st-century global society, the diversity of races and cultures is increasingly prevalent, which highlights the growing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elementary school years, in particular, are a critical period for students to engage with and learn to understand and respect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rt education to foste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inclusivity, and it analyze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Dass's *Humanae* project in this context, offering practical methods for its implement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im to provide valuable resourc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effectively incorporate multicultural education into their art lessons. Additionally, by presenting practical strategies for classroom application,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lay the foundation for students to develop a positive self-identity and cultivate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others, preparing them for life in a rapidly changing global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피부색 다양성 교육의 필요성
Ⅲ. Humanae 프로젝트 개요
Ⅳ. Humanae 교육 프로그램
Ⅴ. Humanae 프로젝트를 활용한 미술 프로그램 제안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미애(Mi Ae Choi). (2024).Humanae 프로젝트를 활용한 다문화 미술교육. 미술교육논총, 38 (4), 71-97

MLA

최미애(Mi Ae Choi). "Humanae 프로젝트를 활용한 다문화 미술교육." 미술교육논총, 38.4(2024): 7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