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종교인 과세제도와 관련한 쟁점에 대한 소고 - 종교인 퇴직소득 과세제도를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A Review of Major Issues Related to the Taxation of Religion-related worker
- 발행기관
- 한국교회법학회
- 저자명
- 이해은(HaeEun Lee)
- 간행물 정보
- 『교회와 법』8권 2호, 207~23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종교인과세제도가 2015.12.15. 신설되었다. 개정법령은 과세대상이 되는 종교단체의 특정과 종교활동을 근로라는 개념으로 법문에 규정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어, 과세제도가 명문으로 규정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영향을 간과한 아쉬움이 있다.
첫째, 소득세법이 통계법을 준용하여 종교인을 지정하는 것에서, 종교단체에서 근로자로 일하는 자를 포괄하도록 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종교인퇴직소득’은 부칙으로 2018.1.1.부터 시행됨을 규정하여, 문언상 2018.1.1. 이전 적립금도 과세대상에 해당하여 소급과세 논란이 있다. 셋째, 종교인 과세제도 도입 시 과세체계를 근로소득(기타소득), 퇴직소득으로 개정하고 연금소득으로 과세할 근거를 마련하지 못하였다. 이처럼 현행 법령의 문제점을 검토한 후 개선방안을 살펴본다. 이로 인하여 향후 종교인 과세제도 관련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필요한 논의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입법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영문 초록
The religious taxation system was enacted on December 15, 2015. It is regrettable that the revised law overlooked the other effects that may occur as it focused on whether religious activities can be defined in the law as work. First, The income tax law doesn’t cover all of those working in religious organizations. As the income tax law applies mutatis mutandis to the definition of the statistical law, it overlooks the difference in the nature of the statistical law and the income tax law, and it does not cover those working in religious organizations. Second, because “religious retirement income” stipulates that it would take effect from 2018.1.1., in the literal sense of the law, a retirement income of the religion-related worker is taxable prior to 2018.1.1. Third, the Current tax law doesn’t stipulate taxing severance pay for religious persons, there is no basis for taxation as pension income. As reviewing the problems of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This is intended to help improve legislation in the future by providing basic data for discussions necessary to find directions for development related to the taxation system for religious people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Ⅲ. 종교인 과세제도 개요
Ⅳ. 현행 규정의 문제점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