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종교문화유산보존법제에 대한 검토
이용수 11
- 영문명
- A review of the Religious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ct
- 발행기관
- 한국교회법학회
- 저자명
- 강봉석(Bongseuk Kang)
- 간행물 정보
- 『교회와 법』8권 2호, 48~68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독일의 경우에는 각주마다 기념물보호법을 제정하면서 종교문화유산의 보호와 관련하여서는 별도의 특별규정을 두는 방식으로 종교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있다. 반면에 문화유산 중에 종교문화유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문화재보호와 관련되어 기본법적인 역할을 하는 문화재보호법은 ‘종교’문화유산 보호에 특유한 제도를 두고 있지 않으며, 전통사찰법과 향교재산법이 불교문화유산과 향교재산의 보호에 특유한 제도들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점은 불교나 유교 이외에 다른 종교에 기반한 종교문화유산이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교를 차별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요소가 존재한다. 이러한 오해를 피하기 위해서는 모든 종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종교문화유산 보호입법을 하면서, 그것이 보호되는 이유가 특정 종교와 관련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전통문화와 관련되어 하나의 문화적 가치가 있기 때문임을 입법의 내용으로 충분히 밝히면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입법에는 해당 종교의 신앙행위와 관련되어 있는 건물 등의 압류금지제도를 비롯하여, 문화재위원회를 대신하는 가칭 종교문화유산보존위원회를 두는 등 종교적인 특수성을 고려하는 제도들을 두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case of Germany, while enacting the Monument Protection Act for each state, religious and cultural heritage is protected by a separate special regulation regarding the protection of religious and cultural heritage.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high proportion of religious cultural heritages among cultural heritage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hich plays a basic role in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s, does not have a special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religious” cultural heritages. In this regard, although there are many religious cultural heritages based on other religions than Buddhism and Confucianism, there are elements that can lead to misunderstanding that they discriminate against other religions. To avoid this misunderstanding, it is sufficient to clarify that the reason for its protection is not because it is related to a specific religion, but because it has a cultural value in relation to traditional culture. In addition, the legislation should have regulations that take into account religious specificity, such as the prohibition of seizure of buildings related to religious acts, and the provisional name Religious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Committee on behalf of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독일의 문화유산보호법제
Ⅲ. 우리나라의 종교문화유산보존법제
Ⅳ. 종교문화유산 보호입법의 필요성
Ⅴ.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