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사학 교원 행정소송 사례에서 본 소청심사제도 개선책 - 서울고등법원 2020누57709 판결 교원소청심사위원회결정취소
이용수 7
- 영문명
- Improvement Plans for the Appeal System for Educators in the Case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the Christian Private University Educators: The Seoul High Court’s Revocation of the Decision by the Appeal Commission for Educators (2020누57709)
- 발행기관
- 한국교회법학회
- 저자명
- 송삼용(Sam Yong Song)
- 간행물 정보
- 『교회와 법』9권 1호, 216~270쪽, 전체 5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9,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팬데믹 시대를 지나는 동안 우리는 급속하게 변하는 새로운 공동체 환경과 법문화를 접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으로 전망한다. 그런 시대적인 분위기를 인식하면서 우리는 법을 사회 현장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하며, 행복한 사회를 세워가기 위해 불합리한 제도나 법규를 개선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본고는 행정법이 실현되고 있는 현장 사례에서 드러난 교원소청심사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을 제안하려는 목적으로 쓰여졌다.
同 사안은 소청심사위원회의 원처분 결정이 행정소송에서 취소판결을 받아 패소한 사건이다. 이 사건을 통해서 소청심사위원회의 패소 원인과 원처분 과정에서 드러난 오류 및 소청심사의 절차적 하자 등의 문제를 발견했다. 더 나아가 만약 학교법인이 소청심사위원회가 법원의 징계처분 변경 사항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에 대한 문제도 해결해야 할 또다른 과제로 떠 올랐다. 따라서 본고는 문제의 소재가 되는 주제들을 중심으로 교원소청심사제도의 문제점 등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해 봤다.
본고를 통해 행정법의 패러다임을 과감하게 결별하여 현 시대에 부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방안을 어느 정도 파악하였다. 동시에 교원소청심사제도에 드러난 관료주의적인 구습을 지적하면서 행정법 분야 중 교육행정의 변화와 개선을 위한 실마리를 찾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행정법의 현대화와 개혁을 위해 교원소청심사제도를 둘러싼 행정법 개선책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했다.
첫째, 교원소청심사제도를 비롯한 각종 행정법은 “미래의 향상된 인식”하에 통찰함으로써 급변하는 교육 현장 상황에 맞춰서 과감한 변화와 개혁을 시도해야 한다. 둘째, 국가 교육을 향상시키는 길은 교원소청심사제도와 관련된 각종 법규들을 시대에 부응하고 교육 현장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법으로 업그레이드 시켜야 한다. 셋째, 교원. 학교법인, 교육행정 관계자들이 모두 힘을 모아 교원징계위원회나 교원소청심사위원회 등의 제도적 문제점에 대한 효율적인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교원소청심사제도의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분석한 다음, 그 자료를 바탕으로 교육행정백서 혹은 소청심사백서 등을 마련하여 그 문제점들을 전면 개선해야 한다
영문 초록
While living through the pandemic era, we faced a new and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for community and legal culture. In the post-pandemic era, the paradigm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is expected to change. In recognition of this present atmosphere, we must find a way to apply the law in practice. We must also have a desire to amend unreasonable systems and laws to build a better society. This paper aim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problems of the Appeal System for Educators.
This paper describes a case in which the initial administrative action of the Appeal Commission for Educators was defeated and cancelled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Through this case, I found the cause of the Appeal Commission for Education’s defeat, errors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initial administrative action, and procedural flaws in the appeal review. Furthermore, another challenge that needs to be resolved is the issue of additional measures for a situation when an educational foundation does not comply with the changes in the court’s disciplinary action by the Appeal Commission.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ways to effectively improve the problems of the Appeal System for Educators, focusing on the problematic topics.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how to build a new paradigm suitable for the current era by boldly breaking the paradigm of current administrative law. Moreover, I pointed out the old bureaucratic customs that were discovered in the Appeal System for Educators and found a clue regarding the change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administration,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law. In conclusion, I proposed the following plans for an improvement of the administrative law related to the Appeal System for Educators, to modernize and reform the administrative law.
First, we should examine the administrative law, including the Appeal Commissions for Educators, from the perspective of a “better awareness of the future” and should attempt to transform the system to keep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to improve national education policy, we should update the Appeal System for Educators and related regulations in ways that can respond to the needs of the current era and consider the field of education effectively and realistically. Third, teachers, educational institutes, and affiliated administration officials in education should collaborate and devise effective improvement plans for the institutional flaws in the Appeal System for Education. Fourth, after accurately identifying and analysing the problems of the Appeal System for Education, the officials should provide a guideline for education administration, or a guideline for the Appeal Reviews, to resolve the problem.
목차
Ⅰ. 사실관계 및 판결의 요지
Ⅱ. 문제의 소재
Ⅲ. 교원소청심사제도 개관
Ⅳ. 교원소청심사제도 분석 및 평가
Ⅴ. 교원소청심사의 법적 성질
Ⅵ. 교원소청심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Ⅶ. 결론
키워드
행정소송
행정법 개선
교원소청심사위원회
교원 지위향상
교원 권리구제
교원소청심사제도 개선
교원소청심사위원회의 패소 사유
사립학교 교원
Administrative Litigation
Improvement for Administrative Law
The Appeal Commission for Commission for Educators
Advancement of Teachers’ Status
Protecting Teachers’ Rights
Improvement of the Appeal System for Educators
Reasons for a judgment canceling decision of the Appeal Commission for Educators
Teachers at Private School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무조사와 교회 재정 운용
- 종교인소득 과세제도의 재설계
- 종교인과세의 실증적 분석 - 5년간의 종교인과세 시행에 대한 실증분석과 개선방향 제시
- 예배금지명령에 대한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
- 교회 조직행정과 교회 성장의 상관관계 분석
- 성적 지향을 이유로 한 대관허가취소의 위법성 판단 - 서울서부지방법원 2022.5.13. 선고 2021나47810 판결
- 기독사학 교원 행정소송 사례에서 본 소청심사제도 개선책 - 서울고등법원 2020누57709 판결 교원소청심사위원회결정취소
- 군인간 영외 항문 성행위를 다룬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례(2019도3047 판결)에 대한 비판적 연구: 형법적, 기독윤리적 및 비교법적 관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