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세 대학과 한국 서원 형성기의 교육자들 - 비교사적 시론
이용수 28
- 영문명
- Educators in the Formative Periods of Medieval Universities and Korean Seowon: A Comparative Historical Study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이우진(Woojin Lee)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87집, 147~192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중세 대학과 한국 서원이라는 두 대표적 전통 고등교육기관을 비교 분석하는 시론적 고찰이다. 구체적으로 두 기관의 형성 배경과 주요 교육자들의 활동을 비교함으로써, 한국 서원이 지닌 보편성과 독자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두 기관의 형성 배경에서 세 가지 공통점이 확인되었다. 첫째, 기존 교육제도의 한계 극복, 둘째, 새로운 지식체계의 수용, 셋째,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한 대응이다. 반면, 형성 배경에서 차이점은 네 가지 측면에서 나타났다. 첫째, 설립 주체의 차이, 둘째, 정치적 맥락의 차이, 셋째, 교육 목적의 차이, 넷째, 제도적 성격의 차이이다.
주요 교육자들의 활동에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공통점이 관찰되었다. 첫째, 혁신적 교육방법론의 도입, 둘째, 체계적인 교육 과정의 수립, 셋째, 학문적 전통의 재해석 및 발전, 넷째, 학파의 형성이다. 반면, 차이점은 교육내용, 교육대상, 제도적 접근 방식이었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각 기관이 속한 사회의 특수한 맥락을 반영하고 있다.
두 기관은 각자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독특한 방식으로 발전했지만, 동시에 교육기관으로서의 보편적 특성도 공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예를들어, 두 기관 모두 기존 교육 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과 새로운지식 체계를 수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는 점에서 교육의 보편성을 보여주었다. 반면, 설립 주체와 정치적 맥락의 차이는 각 문화권의 특수성을 반영하고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two traditional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medieval university in Europe and the Korean seowon. By examining their formative backgrounds and key educators’ activities, we aimed to explore the universal aspects of Korean seowon while identifying its unique characteristics.
Our analysis reveals three commonalities in the formative backgrounds: efforts to overcome existing educational limitations, adoption of new knowledge frameworks, and responses to socio-economic changes. Differences include founding entities, political contexts, educational objectives, and institutional nature.
In key educators’ activities, we observed four universal trends: innovative educational methodologies, systematic curricula establishment, reinterpretation of academic traditions, and formation of scholarly schools. Differences were found in educational content, target audience,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reflecting specific societal contexts.
The study concludes that while both institutions evolved uniquely within their socio-cultural contexts, they shared universal characteristics as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development across cultures and may inform contemporary approaches to higher education reform.
목차
Ⅰ. 머리말
Ⅱ. 중세 대학의 형성 배경
Ⅲ. 중세 대학 형성기의 주요 교육자들
Ⅳ. 한국 서원의 형성 배경
Ⅴ. 한국 서원 형성기의 교육자들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후기 인척 세교(世交) - 노상추가와 해주 정씨가를 중심으로
- 書院과 大學 草創期 藏書管理와 書籍 製作
- 인재(訒齋) 최현(崔晛)의 성리학에 관한 연구 - 인재(人材) 등용과 활용을 중심으로
- 前近代中国(1733-1840)省级大书院的繁荣、 困境与突破 - 以⻄方大学为参照
- 민족문화논총 제87집 목차
- 중세 이탈리아 대학과 조선시대 서원 비교 연구 - 아레초대학 규정과 이산서원 원규를 중심으로
- 중세 유럽 대학의 운영과 조선후기 서원의 경제 운영 -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과 상주 옥동서원을 중심으로
- 한국 서원의 원생과 서양 중세 대학 학생의 성격 비교 - 원생과 학생의 특권을 중심으로
- 현대신유가(現代新儒家)와 서원의 현대적 전승(傳承)
- 조선조 서원과 중세 대학의 출현과정과 그 이념적 토대
- 중세 대학과 한국 서원 형성기의 교육자들 - 비교사적 시론
- 서원과 대학의 규정 비교 연구 - 소수서원과 파리 대학을 중심으로
- 宋代书院与欧洲中世纪大学教学方式及评价比较
- 1910~20년대 일본인 교원의 ‘만주·북지나(北⽀那)’ 시찰
- 서울지역 도시계획에 따른 마을신앙 공동재산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