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과 문화의 경계, 독도: <독도는 우리땅> 노래의 개사와 문화권력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boundary between education and culture, Dokdo : Edit the lyrics of the song “Dokdo is Our Land” and cultural power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저자명
- 박신영(Shin 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독도연구』제36호, 247~2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독도는 우리땅>은 40여 년이 넘는 세월 동안 가요와 동요의 경계를 오가며 끊임없이 리메이크 되고, 독도교육 콘텐츠로도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독도는 우리땅>은 다른 대중가요와 다르게 독특한 ‘개사’의 특징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독도는 우리땅> 노래의 바뀐 가사를 분석해 시대 변화에 따른 사회 변화상이나 기후 변화에 따른 주변 환경 변화상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 독도 영유권과 영토 문제 등과 관련된 가사에서도 변화를 확인했다. 이를 통해 이 노래의 역할이 단순한 문화콘텐츠가 아닌 정확한 ‘정보전달’에 있으며, 그 때문에 시대 변화에 발맞추어 개사가 필요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더불어 바뀐 가사를 주요 언론이 나서 적극적으로 홍보한다는 점은 수많은 가요 중 <독도는 우리땅> 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가요 혹은 동요라는 문화콘텐츠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한국인이 꼭 알아야 할 정보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또 홍보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노래는 문화권력이 작동하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For more than 40 years, the song “Dokdo is Our Land” has been constantly remade as a song and nursery rhyme, and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as a Dokdo education content. Unlike other popular songs, “Dokdo is Our Land” has a unique editing the lyrics of the song. In this article, we analyzed the lyrics of the song “Dokdo is our land” and found that it reflects changes in society due to the changing times and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e to climate change. I also saw changes in lyrics related to Dokdo territory and territorial issues. This suggests that the song's role is not just cultural content, but accurat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that it needed to be adapted to the changing times.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major media actively promoted the changed lyrics is a characteristic of “Dokdo is our land” among many songs. It takes the form of cultural content in the form of songs or nursery rhymes. But, This song is a great example of cultural power at work, as it is constantly updated and promoted with information that Koreans need to know.
목차
1. 서론
2. <독도는 우리땅>, 가요에서 동요로
3. 독도교육 콘텐츠로서의 <독도는 우리땅>
4. <독도는 우리땅> 노래 개사와 문화권력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방 후 한국인의 독도영유권 인식의 보편화와 체화 - 언론 보도기사와 기록물을 중심으로
- 2014 초중고등학교 독도교육 내용체계 검토 및 문제점: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교육과 문화의 경계, 독도: <독도는 우리땅> 노래의 개사와 문화권력
-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지리 영역의 개발과 독도 기술의 특징
- 독도연구 제36호 목차
- 고등학교 『2022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역사·지리 교과의 독도 교육 내용 반영 분석과 교수-학습 적용 방안 연구
- 독도문제의 국제법적 쟁점에 있어서 한·일 간 주장의 비교와 평가 -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제2조 a항을 중심으로
- 「日本近海水先圖」 - 후나스기 주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도 교육의 변화와 과제
- 울릉도·독도 관광콘텐츠 홍보를 위한 MICE 산업 활용 방안 연구
- 일본 에도시대 쇄국정책에서의 다케시마 도해면허 유효성과 모순점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