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4 초중고등학교 독도교육 내용체계 검토 및 문제점: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30
- 영문명
- Review and Problems of the 2014 Dokdo Education Content System: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content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저자명
- 강신훈(Sin-Hoon Kang)
- 간행물 정보
- 『독도연구』제36호, 109~13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4 초등학교 독도교육내용체계를 바탕으로 2024년 현재,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어떠한 문제점에 봉착했는지에 대해 제시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014년에 교육부에서 발표된 ‘2014 초·중·고등학교 독도교육내용체계’는 독도의 지리, 일반 사회, 역사, 그리고 당시 일본의 망언, 교과서 학습 지도 요령해설 등에 대한 대응 등을 담고 있는 과히 ‘독도학’이라 불려도 손색 없을 정도로 방대한 양의 내용체계표를 발표하였다. 그리고 내용체계표 활용방안도 제시하면서 학교급별 독도교육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것을 당부하였다. 학교 교육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구분되며, 독도교육은 창의적 체험활동 10개의 주제 중 1개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필수’ 사항이 아닌 ‘권장’ 사항이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시대의 상황, 이슈에 따라 추가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독도교육의 시수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독도교육의 시수는 0시간 ~ 10시간으로 제한적으로 학교별 자율성에 따라 책정이 되는데, 내용체계표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 너무 많으며, 그 내용 또한 어려운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자칫 독도교육으로 독도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릴지도 모른다. 또한 교사 양성기관에서도 독도라는 ‘교과지식’에 대한 과정이 없다. 독도에 대해 배우지 않은 교사가 독도를 가르치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개정될 독도교육내용체계에는 내용과 질적 수준에 대해 교육현장의 요구와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2014 elementary school Dokdo education content system, this study aims to present how it is used i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ield as of 2024 and what problems it faces and to seek alternatives. The “201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Dokdo Education Content System”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4 released a vast amount of content system tables that can be called Dokdo Studies, which contain Dokdo's geography, general society, history, and responses to Japan's absurd remarks at the time and explanations on textbook learning guidance. In addition, it suggested a plan to use the content system table and asked for efforts to revitalize Dokdo education at school level. School education is divided into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and Dokdo education is treated as one of the 10 themes of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and it is not a “requirement” but a “recommendation”.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is often add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nd issues of the times,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hours of Dokdo educ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The number of hours of Dokdo education is limited to 0 to 10 hours according to the autonomy of each school, and there are too many things to be dealt with in the content system table and many difficult contents are also included, which may lead to loss of interest in Dokdo education. In addition, there is no course to learn about Dokdo and Dokdo education during the teacher training period. Teachers who have not learned about Dokdo are teaching Dokdo. In the Dokdo education content system to be revised in the future, the content and quality level need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needs and circumstances of the educational field.
목차
1. 머리말
2. 2014 독도교육 내용체계표의 위상
3. 학교교육 현장에서 본 독도교육 내용체계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방 후 한국인의 독도영유권 인식의 보편화와 체화 - 언론 보도기사와 기록물을 중심으로
- 2014 초중고등학교 독도교육 내용체계 검토 및 문제점: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교육과 문화의 경계, 독도: <독도는 우리땅> 노래의 개사와 문화권력
-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지리 영역의 개발과 독도 기술의 특징
- 독도연구 제36호 목차
- 고등학교 『2022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역사·지리 교과의 독도 교육 내용 반영 분석과 교수-학습 적용 방안 연구
- 독도문제의 국제법적 쟁점에 있어서 한·일 간 주장의 비교와 평가 -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제2조 a항을 중심으로
- 「日本近海水先圖」 - 후나스기 주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도 교육의 변화와 과제
- 울릉도·독도 관광콘텐츠 홍보를 위한 MICE 산업 활용 방안 연구
- 일본 에도시대 쇄국정책에서의 다케시마 도해면허 유효성과 모순점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