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후 한국인의 독도영유권 인식의 보편화와 체화 - 언론 보도기사와 기록물을 중심으로
이용수 73
- 영문명
- The Universalization and Embodiment of Koreans' Recognition of Dokdo's Territorial Sovereignty after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 Based on Media Reports and Archives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저자명
- 이태우(Tae-Woo Lee)
- 간행물 정보
- 『독도연구』제36호, 167~212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대한민국 국민들의 의식에 자리 잡고 있는 독도영유권에 대한 인식이 언제부터 어떻게 형성되기 시작하였는지 고찰해보는 것이다. 또 그러한 인식이 어떻게 전 국민에게 보편화되고 체화되어 왔는지 언론매체와 기록물 등을 통해 그 과정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첫째, 해방 후 1947년 조선산악회 울릉도·독도학술조사단의 조사활동에 의해 독도의 존재가 처음으로 국민들에게 알려졌다. 둘째, 1948년 ‘독도폭격사건’의 발생으로 인한 동해안어민들의 무고한 희생에 의해 독도의 존재가 전 국민의 의식에 뚜렷이 인식될 수 있었다. 셋째, 1952년 이승만 대통령에 의한 ‘평화선’ 선언은 독도를 포함한 해양영토에 대한 전 국민적 주권의식으로 고양되어 전국적인 규탄대회 등을 통해 보편화 되고 체화되기 시작했다. 넷째, 이러한 영토주권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영토수호 의식은 1953~1956년 독도의용수비대의 독도수호활동으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요컨대 독도영토주권에 대한 보편적 인식의 확대와 그에 따른 확신이 해방 후 1947년~1956년 사이 약 10여 년간 독도와 해양영토주권을 둘러싼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점차적으로 전 국민적 독도수호 의식으로 발현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이러한 독도수호 의식과 의지가 결집되고 확산되어 전 국민에게 심화되면서 독도영유권 인식의 보편화와 체화로 이어지게 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n and how the perception of Dokdo territorial sovereignty, which is currently in the consciousness of the Korean people, began to form.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rocess of how such perceptions have become common and embodied in the entire nation through the media and records. First, after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the existence of Dokdo was first known to the public by the investigation activities of the Ulleungdo-Dokdo Academic Research Group of the Joseon Mountaineering Association in 1947. Second, the existence of Dokdo could be clearly recognized by the consciousness of the whole nation by the innocent sacrifices of East Coast fishermen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Dokdo Bombing Accident in 1948. Third, President Syngman Rhee's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in 1952 was elevated to a national recognition of sovereignty over marine territories, including Dokdo, and began to become common and embodied through national rallies. Fourth, this firm belief in territorial sovereignty and a consciousness of territorial protection led to the activities of Dokdo Voluntary Guards from 1953 to 1956. In short, the expansion of universal awareness and conviction of Dokdo territorial sovereignty gradually began to emerge as a national Dokdo protection consciousness through a series of incidents surrounding Dokdo and maritime territorial sovereignty for about 10 years between 1947 and 1956 after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As a result, this consciousness and will to protect Dokdo were gathered and spread, deepening to the entire nation, leading to the universalization and embodiment of the recognition of Dokdo territorial sovereignty.
목차
1. 머리말
2. 조선산악회 울릉도·독도학술조사단의 활동과 독도영유권 인식(1947)
3. 독도폭격사건과 독도영유권 인식(1948)
4. 평화선 선언과 독도영유권 인식(1952)
5. 독도의용수비대의 독도수호활동과 독도영유권 인식(1953~1956)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방 후 한국인의 독도영유권 인식의 보편화와 체화 - 언론 보도기사와 기록물을 중심으로
- 2014 초중고등학교 독도교육 내용체계 검토 및 문제점: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교육과 문화의 경계, 독도: <독도는 우리땅> 노래의 개사와 문화권력
-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지리 영역의 개발과 독도 기술의 특징
- 독도연구 제36호 목차
- 고등학교 『2022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역사·지리 교과의 독도 교육 내용 반영 분석과 교수-학습 적용 방안 연구
- 독도문제의 국제법적 쟁점에 있어서 한·일 간 주장의 비교와 평가 -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제2조 a항을 중심으로
- 「日本近海水先圖」 - 후나스기 주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도 교육의 변화와 과제
- 울릉도·독도 관광콘텐츠 홍보를 위한 MICE 산업 활용 방안 연구
- 일본 에도시대 쇄국정책에서의 다케시마 도해면허 유효성과 모순점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