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孫武사상의 淵源 考察

이용수  8

영문명
A Study on the Origins of Sun Wu's (孫武) Thought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저자명
김주형(Ju-hyeong Kim)
간행물 정보
『동양학연구』제18집, 191~21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손자병법』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장애물은 춘추전국시대 孫武의 『손자병법』 진본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있다. 眞本이 뒷받침되어야 손무 사상의 연원을 추측할 수 있는데, 현대에 전해지는 것은 후한 말기의 제왕 曹操가 자신의 부하 장수들에게 전쟁 지침서로 남겨 준 帝王 중심의 전쟁론이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자병법』은 현대의 자유 민주주의 국민국가 시대의 국방개념과 거리가 있고, 孫武의 병법을 현대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도 문제이다. 왜냐하면 현대 국가 통치의 방법은 다양한 관계로 인해 왕정의 국가는 兵法을 그대로 적용한다 해도 자유 민주주의 공화정 국가에서는 통수권 체제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손무의 진의가 담긴 병법의 원리라든가 사상적 淵源을 파악함으로서 철학화 작업이 요구된다고 본다. 이러한 이론작업의 보완을 위해서 『손자병법』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한다. 淸皇朝 시대에 유행했던 고증학적 연구방법의 장점을 취해야 한다. 이어서 현대적 가치를 추출할 고고학 발굴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본다. 덧붙여 『손자병법』의 연구는 비교적 연구가 덜 된 분야로서 철학계와 군사학계의 많은 관심과 더불어 학술적인 천착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듯이 손무와 노자사상의 架橋에 이어서 손무와 병가사상을 접근함으로써 그가 추구하고자 하는 진정한 평화 전략이 무언가를 모색해야 하는 과제가 남겨진 셈이다.

영문 초록

The biggest obstacle to the study of The Art of War (or Sun Tzu's Art of War; 孫子兵法) written by Sun Wu is that the original copy, dating back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does not exist. The origins of Sun Wu's thoughts can be inferred only if the original copy is supported, but most of what is handed down in modern times is the ruler-centered war theory, which was left by Emperor Cao Cao (曹操) at the end of the late Han Dynasty as a war guidebook for his subordinates. Nevertheless, the concept of national defense of The Art of War is far from that of the modern liberal democratic nation-state era; how to apply Sun Wu's tactics to modern times is also a matter to consider. This is because even if the military strategy and tactics of absolute monarchy are applied as they are, the military command system itself is different due to various relationships in the liberal democratic republic, which is the main method of governance in modern countries. For this reason,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hilosophize on the book in a way that attempts to grasp the art of war or the ideological origins reflecting his true meaning or intention. To supplement such theoretical work, the following method is proposed for the study of The Art of War. It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bibliographical study (考證學) method that was popular during the Qing Dynasty. Then, archaeological excavations to derive modern values should be actively sought. In addition, the study of the book is a relatively under-researched field, so academic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along with much interest and support from the philosophical and military academie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f Sun Wu and theories of the Military School (兵家; Bingjia) are approached afte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n Wu's and Laotzu's Thought, the task that remains is to find out what the true peace strategy was that he wanted to pursue.

목차

Ⅰ. 서론
Ⅱ. 손무의 생애와 저술
Ⅲ. 손무와 노자사상
Ⅳ. 손무와 병가사상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형(Ju-hyeong Kim). (2022).孫武사상의 淵源 考察. 동양학연구, (), 191-216

MLA

김주형(Ju-hyeong Kim). "孫武사상의 淵源 考察." 동양학연구, (2022): 191-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