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자의 음악관 연구

이용수  19

영문명
Research of Chuangtzu's Perception of Music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저자명
임승국(Seung-kook Lim)
간행물 정보
『동양학연구』제18집, 137~15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장자의 음악관은 그의 사상이 집대성된 『장자』의 「천도」, 「천운」, 「제물론」편에서 그 편린을 알 수 있다. 「천도」편에서는 천악을 언급하였는데, 이는 도의 세계를 말하는 것이다. 장자는 음악을 절대적 진리인 도를 상징한 것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천도」에서 말하는 천악은 곧 천도(天道)라 할 수 있다. 한편 「천운」편에는 함지악이 등장하는데, 이것도 천도를 말하는 것이다. 장자는 황제와 북문성의 문답을 통해 천악, 즉 함지악은 하늘과 자연의 소리이고, 이러한 음악을 들을 때는 자기만의 잣대를 내려놓고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아이의 순수한 마음으로 들을 것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제물론」편에서는 인뢰, 지뢰, 천뢰를 설명하였다. 인뢰는 사람이 만든 악기에서 나오는 소리, 지뢰는 자연에서 일어나는 소리, 천뢰는 우주의 오묘한 조화를 뜻하는 천악을 의미한다. 장자는 악기의 소리나 지상의 모든 소리를 있는 그대로 듣는 경지, 즉 자연과 합일된 경지에서 듣게 되는 천뢰야말로 가장 심오한 경지의 음악이라고 보았다. 이는 수많은 자연 현상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소리와 인간이 만든 무수히 많은 악기에서 나오는 소리를 차별적 인식없이 온전히 받아들여야 함을 말한다.

영문 초록

The musical view of Chuangtzu can be seen in the Cheondo, Cheonun, Jemulron of Chuangtzu, where his ideas are concentrated. Chuangtzu thought that Tianyue was a symbol of Tao, an absolute truth, and the heavenly music in Chundo can be called the heavenly road. On the other hand, the music of the Hamji appears in “Cheonun” and refers to the cheondo. Chuangtzu emphasized the heavenly music, that is, the sound of heaven and nature, through the question and answer of the emperor and the north gate, and when listening to this music, he put down his own standard and listened to the pure heart of a child who knows nothing. In the section of Jemulron, Chuangtzu explained the Renlai, Dilai, and Tianlai. Renlai means the sound from a human instrument, Dilai is the sounds from nature, and Tianlai mean the heavenly harmony of the universe. Chuangtzu saw the sound of the instrument or all the sounds on the ground as they are, that is, the music of the most profound state, which is heard in the state united with nature. This means that the sound that occurs naturally in many natural phenomena and the sound that comes from the countless musical instruments made by man should be fully accepted, without discriminatory recogni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장자의 생애와 사상
Ⅲ. 「천도」편의 천악과 인악
Ⅳ. 「천운」편의 함지악과 「제물론」편의 천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승국(Seung-kook Lim). (2022).장자의 음악관 연구. 동양학연구, (), 137-158

MLA

임승국(Seung-kook Lim). "장자의 음악관 연구." 동양학연구, (2022): 137-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