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한 스타트업 성공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240
- 영문명
- A Study on the Success of Start-ups U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Analysis of research trends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박연순(Yeonsoon Park) 남정민(Jungmin Nam)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8권 제5호, 307~3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스타트업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를 활성화시켜 국가경쟁력을 키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축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으로 스타트업은 양적으로 증가했으나 질적인 부분에서는 지속적인 고도화가 필요하다. 스타트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국가 경제성장을 이끄는데 주역이 되기 위해서는 우선 스타트업 성공을 위해 필요한 여러 요인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스타트업 성공에 관한 연구 동향이 제공할 수 있는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국내 연구를 수집, 분석하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총 104건의 국내 문헌을 수집하고, 스타트업의 개념과 스타트업 성공 관련 연구의 동향, 연구시기별, 학문 분야별. 방법별 동향, 연구주제 동향, 연구에서 주요 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스타트업 성공에 대한 연구가 2014년 3편을 시작으로 2023년에는 21편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스타트업이 기존 창업 기업과는 다른 특성과 잠재력을 지니며, 혁신성과 빠른 성장 가능성을 통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졌기 때문이다. 둘째, 스타트업 성공에 대한 연구는 사회, 문화, 예술, 과학, 기술, 법률, 신학과 선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50개의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이는 스타트업이 산업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스타트업 성공에 대한 연구를 ERIS모델에 기반해 분석한 결과 연구주제가 자원 차원과 전략 차원에 더 편중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스타트업 성공에 자원요인과 전략요인이 핵심요소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그러나 스타트업의 성공은 다양한 요소가 서로 영향을 주며 이뤄지므로 창업자요인과 산업환경요인에 대한 연구도 균형있게 이루어져, 스타트업 성공에 대해 포괄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스타트업 분야 연구의 방향성과 성장을 지속하고자 하는 창업자들 그리고 정책 입안자들에게 유용한 통찰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Startups are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jobs, revitalizing the economy, and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ccordingly, the government's multifaceted effort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startups, but continued advancement in quality is necessary. In order for startups to grow into global companies and play a leading role in leading national economic growth, it is necessary to first clearly identify the various factors necessary for startup succes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that can be provided by research trends on startup success by synthesizing previous studies. To this end, a total of 104 domestic documents were collected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at collected and analyzed existing domestic studie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e concept of startups and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startup success, trends by research period, academic field, and method, trends in research topics, and the relationship with major variables in research. First, research on startup succes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from 3 studies in 2014 to 21 studies in 2023. This is because startup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from existing startups based on their innovativeness and rapid growth potential. Second, the fact that startup succes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ety, culture, art, technology, science, and law and published in 50 academic journals suggests that startups play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industrial ecosystems.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research on startup success based on the ERIS model show that research topics are more biased toward resource and management strategy dimensions. This suggests that resource factors and management strategy factors are recognized as key factors in startup success. However, since startup success is achieved through the mutual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research on founder factors and industrial environment factors should also be conducted in a balanced manner to ensure comprehensive interest in startup succ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useful insights to founders and policymakers who want to continue the direction and growth of future startup research based on these resul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자료수집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소벤처기업의 조직 내부역량 및 외부 환경동태성이 해외진출 결정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외네트워크 지향성 조절효과 중심
- 중국 4대 직할시 온라인 플랫폼 창업자의 창업동기, 개인역량, 창업환경요인이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업기회포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창업환경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 창업기회발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사회적 경제 분야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기업과 소셜벤처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경제적 어려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진로 결과기대의 관계 : 진로결정 학습경험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 미취업 청년 캥거루족의 부모 경제적 의존 유형화 및 결정요인
- 두뇌 유입(Brain Gain) 관점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고용 활성화를 위한 IPA 분석 : 정부출연연구기관 이공계 석·박사과정을 중심으로
- 은행업 종사자의 직무수행능력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발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특성과 팔로워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세대 간 차이분석
- 직원경험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학생을 위한 OECD 학습 나침반 2030 기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진로개발역량과 창의성역량을 중심으로
-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한 스타트업 성공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청년창업가의 개인역량과 창업준비수준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창업컨설팅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SNS화장품 광고에서 화장품구매행동, 소비성향, 외모관심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광고모델 매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