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창업환경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 창업기회발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49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Entrepreneurial-environment on Entrepreneurship: Mediating Effects of Discovering-entrepreneurial-opportunities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구웅모(Woongmo Ku) 전병훈(Byunghun J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8권 제5호, 71~8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가정신 모니터(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GEM)모델을 기반으로 창업환경을 조성하여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고 있는 수도권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업환경(창업교육, 창업지원정책)이 학생들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처럼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와 기업성과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일 차원의 분석에서 벗어나서,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의 관계를 설명하려고 하였다. 교내 창업환경을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정책으로 다각화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창업기회발견을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기업가정신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3개 대학교에서 수집된 164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창업교육은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지원정책이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교육은 창업기회발견을 매개로 하여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창업지원정책은 창업기회발견을 매개로 하여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환경을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접근하여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정책으로 제시하고,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효과적인 요인을 실증적으로 확인함에 의미가 있다. 또한 창업교육에 편향되거나 창업지원 정책에만 편향된 창업환경 조성보다는 다양한 창업지원정책이 함께 기획된 창업환경조성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GEM) model, this study studied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ial-environment (Entrepreneurial-education, Entrepreneurial-support-policy) on the Entrepreneurship of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targeting students who are cultivating Entrepreneurship by creating a Entrepreneurial-environment. Unlike previous domestic studies that focused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intentions and Business-performance, this study aim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of antecedent variables affecting Entrepreneurship. The Entrepreneurial-environment within the university was diversified into Entrepreneurial-education and Entrepreneurial-support-policies, which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Entrepreneurial-opportunity discovery was set as a mediating variable, and Entrepreneurship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derived its results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164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hree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ial-education has an effect on Entrepreneurship.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ntrepreneurial-support-policy has an effect on Entrepreneurship. Third,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ial-education has an effect on Entrepreneurship through the discovery of Entrepreneurial-opportunities. It was found that the Entrepreneurial-support-policy did not affect Entrepreneurship through the discovery of Entrepreneurial-opportun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pproaching the Entrepreneurial-environment as a multidimensional concept, presenting it as a Entrepreneurial-education and Entrepreneurial-support-policy, and empirically confirming the effective factors that affect the Entrepreneurship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rather than creating a Entrepreneurial-environment that is biased toward Entrepreneurial-education or biased only toward Entrepreneurial-support-policies, it suggests that various Entrepreneurial-environment such as the opportunity-capturing Entrepreneurship-model suggested by GEM should be properly crea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소벤처기업의 조직 내부역량 및 외부 환경동태성이 해외진출 결정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외네트워크 지향성 조절효과 중심
- 중국 4대 직할시 온라인 플랫폼 창업자의 창업동기, 개인역량, 창업환경요인이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업기회포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창업환경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 창업기회발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사회적 경제 분야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기업과 소셜벤처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경제적 어려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진로 결과기대의 관계 : 진로결정 학습경험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 미취업 청년 캥거루족의 부모 경제적 의존 유형화 및 결정요인
- 두뇌 유입(Brain Gain) 관점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고용 활성화를 위한 IPA 분석 : 정부출연연구기관 이공계 석·박사과정을 중심으로
- 은행업 종사자의 직무수행능력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발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특성과 팔로워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세대 간 차이분석
- 직원경험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학생을 위한 OECD 학습 나침반 2030 기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진로개발역량과 창의성역량을 중심으로
-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한 스타트업 성공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청년창업가의 개인역량과 창업준비수준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창업컨설팅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SNS화장품 광고에서 화장품구매행동, 소비성향, 외모관심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광고모델 매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