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사회적 경제 분야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기업과 소셜벤처를 중심으로
이용수 86
- 영문명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domestic research trends in the social economy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Focus on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ventures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고일권(Il-kwon Ko)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8권 제5호, 91~11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적 경제의 주체인 사회적기업과, 소셜벤처는 공공과 민간 기업이 해결하지 못한 여러 사회 문제들을 해결하며 '제3섹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사회적 경제가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와 어떤 분야가 연구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의 두 축인 사회적기업, 소셜벤처 관련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각각의 특징과 선행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사회적기업, 소셜벤처 관련 연구 동향을 대용량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빅데이터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사회적기업과, 소셜벤처에 대한 학술 연구의 초록을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추출하여 1)단어 빈도 및 TF-IDF 분석, 2)동시 출현 네트워크 분석, 3)LDA기반 토픽 모델링 분석을 순차적으로 진행했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단어 빈도 분석 및 TF-IDF 분석 결과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측면과 이에 대한 분석이 주요한 연구 영역임을 보여주며, 조직적 특성과 그 영향, 그리고 사회적 경제의 가치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도출하였다. 둘째, ‘동시 출현 단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연구가 이 분야에서 핵심적인 주제이며, 데이터 분석적 연구 결과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증명하였으며,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측면과 기업의 목적성도 주요 연구 주제로 진행된다는 부분도 증명하였다. 셋째, LDA 기반 토픽 추출의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8개의 토픽을 추출하였으며, 추출 결과 사회적기업과 소셜벤처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소비자 관계, 장애인 지원, 문화적 접근, 도시재생, 투자와 책임, 그리고 파트너십 등 여러 측면에서의 역할과 그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었다. 이를 통해 사회적 경제 기업이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사회적 경제 분야 연구 동향을 텍스트마이닝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사회적 경제 분야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해 다양한 학문적 제언을 한 부분에서 의의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분석된 연구 동향을 바탕으로 향후 사회적 경제 분야에 관한 연구 방향 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ventures, which constitute the actors of the social economy, are assuming the role of the 'third sector' by addressing a multitude of social issues that are not addressed by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In this context, it is meaningful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conomy and the areas of study that fall within its remit.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and current research trends of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ventures, two pivotal entities within the social economy. Furthermore, it employs big data methods to analyse extensive data sets pertaining to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ventures.
The abstracts of academic research on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ventures were extracted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Subsequently, three analytical techniques were employed in sequence: 1) word frequency and TF-IDF analysis, 2)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and 3) LDA-based topic modell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e word frequency and TF-IDF analysis indicate that the economic aspects of social enterprises and their analysis represent a significant research area. Additionally, it can be concluded that research on organisational characteristics, their impact, and the value of the social economy is actively being conducted. Secondly, the 'co-occurrence word network' analysis demonstrated that research pertaining to social enterprises constitutes a pivotal topic within this field. The data analysis outcomes are of considerable significance, with the economic aspect of social enterprises and the purpose of enterprises also representing major research topics. Thirdly, eight themes were extracted through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implications of LDA-based topic extract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ventures are active in a multitude of field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role and importance of various aspects, including consumer relations,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ultural access, urban regeneration, investment and responsibility, and partnerships. This demonstrates that social economy enterprises are playing a role in addressing social issues. The value of this study lies in its ability to draw inferences from the aforementioned research trends in the social economy domain through the utilisation of text mining analytical techniques. This study aspires to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of prospectiv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ield of social economy, with a foundation in the analysed research trend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및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소벤처기업의 조직 내부역량 및 외부 환경동태성이 해외진출 결정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외네트워크 지향성 조절효과 중심
- 중국 4대 직할시 온라인 플랫폼 창업자의 창업동기, 개인역량, 창업환경요인이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업기회포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창업환경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 창업기회발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사회적 경제 분야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기업과 소셜벤처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경제적 어려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진로 결과기대의 관계 : 진로결정 학습경험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 미취업 청년 캥거루족의 부모 경제적 의존 유형화 및 결정요인
- 두뇌 유입(Brain Gain) 관점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고용 활성화를 위한 IPA 분석 : 정부출연연구기관 이공계 석·박사과정을 중심으로
- 은행업 종사자의 직무수행능력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발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특성과 팔로워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세대 간 차이분석
- 직원경험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학생을 위한 OECD 학습 나침반 2030 기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진로개발역량과 창의성역량을 중심으로
-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한 스타트업 성공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청년창업가의 개인역량과 창업준비수준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창업컨설팅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SNS화장품 광고에서 화장품구매행동, 소비성향, 외모관심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광고모델 매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