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년창업가의 개인역량과 창업준비수준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창업컨설팅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이용수 51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Young Entrepreneurs' Individual Competency and Entrepreneurship Preparation Level on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tart-up consulting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송현채(Hyunchae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8권 제5호, 19~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창업가의 개인역량과 창업준비수준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컨설팅의 신뢰도와 만족도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 190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고, SPSS v28.0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년창업가의 개인역량 중 위험감수성과 창업 준비 수준에서는 아이템선정과 창업준비기간이 종속변수인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역량 중 리더십역량과 기술혁신역량 그리고 창업 준비 수준에서 창업자금은 창업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효과인 컨설팅 신뢰도와 만족도는 청년창업가의 개인역량과 창업성과 간을 부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청년창업가의 창업준비수준과 창업성과간에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년창업가의 개인역량과 창업준비수준은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창업가들과 창업지원을 위한 정책 입안자에게 청년창업육성을 위한 맞춤형 정책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young entrepreneurs' individual competency and start-up preparation level on start-up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start-up consulting. To this end, 190 surveys collected for young entrepreneurs living across the country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28.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item selection and start-up preparation peri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art-up performanc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among young entrepreneurs' individual competencies, and it was found that start-up fund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tart-up performance among individual competencies in leadership competency,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y, and start-up preparation level.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consulting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was found to partially control the individual competency and start-up performance of young entrepreneurs, an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start-up preparation level and start-up performance of young entrepreneurs.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 competency and start-up preparation level of young entrepreneurs are important variables as they affect start-up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hoped to be helpful to young entrepreneurs preparing for start-ups and policy makers for start-up support in customized policies for fostering young entrepreneu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소벤처기업의 조직 내부역량 및 외부 환경동태성이 해외진출 결정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외네트워크 지향성 조절효과 중심
- 중국 4대 직할시 온라인 플랫폼 창업자의 창업동기, 개인역량, 창업환경요인이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업기회포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창업환경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 창업기회발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사회적 경제 분야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기업과 소셜벤처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경제적 어려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진로 결과기대의 관계 : 진로결정 학습경험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 미취업 청년 캥거루족의 부모 경제적 의존 유형화 및 결정요인
- 두뇌 유입(Brain Gain) 관점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고용 활성화를 위한 IPA 분석 : 정부출연연구기관 이공계 석·박사과정을 중심으로
- 은행업 종사자의 직무수행능력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발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특성과 팔로워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세대 간 차이분석
- 직원경험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학생을 위한 OECD 학습 나침반 2030 기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진로개발역량과 창의성역량을 중심으로
-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한 스타트업 성공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청년창업가의 개인역량과 창업준비수준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창업컨설팅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SNS화장품 광고에서 화장품구매행동, 소비성향, 외모관심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광고모델 매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