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의생활영역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2
- 영문명
- Development of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al Program of the Clothing & Textiles Area for Creative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정(Yun-Jung Lee) 최경은(Kyeong-Eun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6권 제1호, 83~10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의생활영역을 중심으로 한 창의·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2011 실과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해설서, 관련 문헌 등을 중심으로 창의·인성교육과 의생활교육,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준비, 개발, 개선의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으며,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교육을 위해 7가지 주제를 선정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7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한 후 주제별로 단원을 정하고 단원에 따라서 학습목표와 창의인성요소들을 추출하였으며, 단원에 따라 이를 반영할 수 있는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개선단계에서는 교수, 초등학교 교사 5인에게 수정보완하게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의복 예절을 알고 실천해 보아요.’, ‘나의 옷과 의생활용품을 스스로 관리해요.’, ‘리폼(재활용)을 이용하여 멋있는 용품을 만들고 선물하여 감사를 실천해요.’, ‘친환경수세미를 만들어 환경 지킴이가 되어 보아요.’, ‘아프리카 어린이를 위한 용품을 만들어 나눔과 배려를 실천해 보아요.’, ‘다문화 민속의상을 체험해 보아요.’, ‘창의적 의생활 용품 만들기를 소개해요./나눔, 감사, 배려의 의생활 실천을 소개해요.’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학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과정안, 평가지 및 교수․학습자료 등이 실제 현장에 적용되어 교육적 효과를 검증할 수 있도록 수정, 보안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on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al program of the clothing and textiles area for elementary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e 2009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2011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the explanation of the curriculum, related literature were analyzed to theorize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al program and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ook place through three steps of preparation,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n the clothing experience area, seven different topics were selected f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preparation phase, the goal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set based on the eight topics, and then the chapter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opics. The achievement goals,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factors were abstracted, and the following educational content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hapters. In the enhancement phase, five expert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made modifications and corrections. On the basis of the assessment, the final draft of the program was developed.
The following are the final programs :'Let's take clothing etiquette lesson and practice', 'Take care of my clothing and clothing items on my own.' 'Let's make eco-friendly cleaning pad and protect the environment', 'Let's make and share items for African children', 'Let's wear multi cultural tradition clothes.' 'Introduce how to make creative clothing experience items/how to practice consideration and gratitude of clothing experience.'To apply the developed program to school, the instructional method and materials, assessment papers should be applied to practical instruction and modifications and corrections are needed consistently to validate the educational effects and instructional metho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로봇의 이해’ 단원의 내용 연구
- 창의성 즉석 과제 수행이 초등 발명영재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 기술적 사고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및 학교환경 요인에 대한 연구
-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발명교사를 위한 교과교육학 표준 체계 연구
- 196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
- 2011 교육과정에 의한 실과교과서 ‘쾌적한 주거와 생활자원 관리’ 단원 개발 방안
- 2009 발명교사교육센터의 설립에 따른 조직 모형 및 운영 방안 구상
- 화력에너지에 대한 초․중·고등학생의 인식 및 교육 실태 분석
- 발명영재의 관찰추천제 선발에 관한 초등 교사의 인식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의생활영역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3호 목차
- 학교 공간의 교육효과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The Impact of High School Students' Emotions on Climate Change Responses⋅Prospects, and Practice Compet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limate Change Problem Percep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