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로봇의 이해’ 단원의 내용 연구

이용수  38

영문명
A Study of the Contents for the Unit of Understanding the Robot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f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종표(Kang Jong Pyo)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6권 제1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에 새롭게 도입된 ‘로봇의 이해’ 중단원에 대한 성취기준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내용의 선정과 교수・학습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로봇의 이해’ 중단원의 내용, 이 내용에 대한 목표 설정 및 평가 내용, 내용의 교과서 형태로 제작한 자료를 교육대학교 공업․기술 담당 교수와 현직 교사,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에게 배포하여 그 적절성과 타당성, 이 중단원에 적절한 시수 등에 대한 견해와 이들의 교구 로봇에 대한 조립 경험 및 관심의 정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 조사 참여자 중 초등학교 교사와 예비교사의 교구 로봇 조립이나 강의 경험, 이해 및 관심의 정도 등에 대한 분석 결과 ‘로봇의 이해’ 중단원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교수․학습되기 위해서는 로봇에 대한 교사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적극 강구되고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로봇의 이해’ 중단원의 내용과 목표는 대체로 적절하였고, 일부 수정․보완을 요하는 내용은 로봇의 종류 및 작동원리의 이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로봇을 작동시키는 내용, 로봇의 미래 및 로봇 과련 직업 및 능력에 대한 내용이었다. 수정․보완을 요구하는 내용과 함께 로봇을 구성하는 부품에 대한 내용, 여러 종류의 센서를 이해하는 내용과 로봇을 체험하는 주제의 목표가 초등학생들의 수준에 다소 높다는 견해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내용과 목표에 대한 수정․보완 또는 삭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로봇의 이해’ 중단원의 적정 시수는 8~10차시가 적절하고, 이 중 로봇의 조립과 센서의 기능을 이해하는 체험 활동에 많은 시간을 배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평가되었다.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로봇을 작동시키는 내용은 프로그램을 실제로 작성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학습하여 로봇의 메인보드에 입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로봇이 어떻게 작동되는지, 프로그램을 로봇의 메인보드에 어떻게 옮기는지 등의 과정만을 교수・학습하는 수준이라면 교과내용에 포함 되어도 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기 때문에 이 내용은 여러 가지 개별적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교과서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select the contents that can effectively achieve the accomplishment standard of Understanding of the Robots unit which is newly introduced to Practical Arts Education of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n this study, learning goals and the evaluation program of contents, a material about the contents which was made in the format of textbook of Understanding the Robot unit were distributed to professors who teaches industrial and technology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n the appropriateness and feasibility of the contents and material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rom the survey, understanding, and interests, experiences about the assembly or teaching of robots of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survey were analyzed. As a result, in order to achieve more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Understanding of the Robot unit, it is important to actively devise and enforce the method to reinforce the education about robots for the teachers. The contents for the unit of understanding of the Robots were basically appropriate, several subjects which types of robots,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robot, the operation of robot as a computer program, the future of robots and robot-related jobs and skills were need to some modifications and complements. Not only the contents that require modification and complements but also information on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robots, understanding of various kinds of sensors and the subject which aims to experience the robot were considered to be somewhat difficul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reasonable educational hour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Robots unit is 8~10 class and accordingly, it seemed that it is desirable to allocate fair time in assembling the robot, and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the sensor. Many agreed with including the content of operating robots with computer programs in the textbooks on a level of downloading the written program and learning the program in the main board except writing the program by themselve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종표(Kang Jong Pyo). (2013).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로봇의 이해’ 단원의 내용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 (1), 1-22

MLA

강종표(Kang Jong Pyo).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로봇의 이해’ 단원의 내용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1(2013):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