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1 교육과정에 의한 실과교과서 ‘쾌적한 주거와 생활자원 관리’ 단원 개발 방안
이용수 39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Unit Design Based 『A Suitable Living & Life Resource Management』in Practical Arts Textbook According to 2011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형균(Kim Hyung G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6권 제1호, 23~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7 개정 실과 검정 교과서 ‘쾌적한 주거환경’, ‘생활자원과 소비’ 단원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2011 교육과정의 ‘쾌적한 주거와 생활자원 관리’ 단원에 대한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준거는 단원 배치와 쪽수, 사진과 삽화, 내용요소, 단원체제 및 유형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은 내용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7 교육과정의 ‘쾌적한 주거환경’ 단원에서 정리 정돈의 필요성, 정리정돈하기, 청소방법(청소하기), 쓰레기 종류와 처리방법, 재활용가치와 재활용하기가 상대적으로 비중이 있는 내용요소로 나타났다. 2007 교육과정의 ‘생활 자원과 소비’ 단원에서 생활자원의 의미, 생활자원 관리의 중요성, 생활자원과 환경과의 관계 이해, 시간 자원의 효율적 관리가 상대적으로 비중이 있는 내용요소로 나타났다.‘ 쾌적한 주거와 생활자원 관리’ 단원의 내용 요소 8가지를 성취기준을 근거로 도출 하였다. ‘쾌
적한 주거와 생활자원 관리’ 단원은 중단원 보다는 대단원 도입 부분에 도입 글과 생각열기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쾌적한 주거와 생활자원 관리’ 단원의 학습목표를 중단원 별로, 청유형으로 진술하고, 지식, 기능, 태도 모두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쾌적한 주거와 생활자원관리’단원은 자기평가 이외에 다양한 평가 형태를 제공하고, 수렴형 보다는 확산형 평가를 좀 더 늘리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이 연구의 ‘쾌적한 주거와 생활자원 관리’ 단원개발 안은 실과의 타 단원 개발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실과 검정 교과서의 각 단원 별로 이와 같은 분석 연구가 후속 연구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Now we are developing textbooks for the 2001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at will be carried out in elementary schools from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unit of『A Suitable Living & Life Resource Management 』design and content component based on the 2011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contents component of te×tbook should be coincid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that could be found on the national curriculum. Accomplishing the purpose, the research methods were adopted review of literatures and deliberation thinking. It was identified through unit placement and page number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the system of unit, learning objectives, the component contents. when it comes to the study method, content analysis which is appropriate for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was used. In terms of composition of units, there were three stages: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onsolidation. More careful consideration is required in the statement and guidelines for object of curriculum so that a verity of textbooks including the differentiated, abundant materials can be
written from angl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other Units on the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 방법
IV. 연구의 결과
V. 요약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로봇의 이해’ 단원의 내용 연구
- 창의성 즉석 과제 수행이 초등 발명영재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 기술적 사고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및 학교환경 요인에 대한 연구
-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발명교사를 위한 교과교육학 표준 체계 연구
- 196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
- 2011 교육과정에 의한 실과교과서 ‘쾌적한 주거와 생활자원 관리’ 단원 개발 방안
- 2009 발명교사교육센터의 설립에 따른 조직 모형 및 운영 방안 구상
- 화력에너지에 대한 초․중·고등학생의 인식 및 교육 실태 분석
- 발명영재의 관찰추천제 선발에 관한 초등 교사의 인식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의생활영역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운동과 에너지 영역 성취기준 분석: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중심으로
- 스마트폰 사용 목적이 학업 성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연구: 중학생-교사 관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