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문식성 향상을 위한 독서 지도 방안 - 문학 텍스트 활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The method of reading education for improving multicultural literacy : Focusing on utilization of literature tex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예경순(Koungsoon Yea)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1권 제1호, 113~13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서의 다문화 문식성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다문화 문식성 향상을 위해 어떻게 독서지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한 글이다. 다문화 문식성은 단순히 글을 읽고 쓰는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를 살아갈 구성원들에게 효율적으로 다문화 사회를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문학 텍스트 활용을 중심으로 어떻게 반응을 끌어낼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다문화 사회의 주류 학습자들은 문학 텍스트를 더 깊이 이해하고 감상하며 나름의 관점을 갖고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자신의 삶의 가치와 연결하게 될 것이다. 학습자들은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독서지도를 통해 바람직한 문학 주체로 성장할 것이며, 다문화 문식성을 향상하고 다문화 사회 속에서 소통하면서 바람직한 공동체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literacy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discuss the reading education for improving multicultural literacy. The multicultural literacy can be an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 diversity of the culture as well as reading and writing the text.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cusing on utilization of literary texts, so that the people who will live in multicultural society can understand and think it well. Through the method of this education the majority learners of multicultural society can understand the literature text more deeper and appreciate it better, and they can connect it with the value of their life. Learners, through continuous and systematic reading education, will grow as the preferred literary subjects, and they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desirable community by improving multicultural literacy and communicat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literacy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discuss the reading education for improving multicultural literacy. The multicultural literacy can be an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 diversity of the culture as well as reading and writing the text.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cusing on utilization of literary texts, so that the people who will live in multicultural society can understand and think it well,Through the method of this education the majority learners of multicultural society can understand the literature text more deeper and appreciate it better, and they can connect it with the value of their life. Learners, through continuous and systematic reading education, will grow as the preferred literary subjects, and they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desirable community by improving multicultural literacy and communicat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목차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다문화 문식성 교육과 독서 지도 방안
3. 다문화 문식성 향상을 위한 독서 지도의 실제
4. 연구의 요약 및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문학 읽기를 위한 어휘 주석 연구 - 사회·문화적 배경지식 및 맥락 이해 추가 설명을 중심으로
- 베트남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 모색 - 교사요구와 교육 정책 변화에 따른 과제 중심으로
- 한국어 속담에 나타난 과장 표현 연구 - 의미 양상을 중심으로
- 터키의 한국문화 교재에 대한 분석과 활용 및 개선 방안 - KORE’Yİ TANIYARAK KORECE ÖĞRENELİM(『한국을 알아가면서 한국어를 배웁시다』)를 대상으로
-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의미 기능 : ‘-어서’와 ‘-니까’를 중심으로
- 역할극을 활용한 무역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다문화 문식성 향상을 위한 독서 지도 방안 - 문학 텍스트 활용을 중심으로
- 교육 이념의 전환을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유레카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