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의미 기능 : ‘-어서’와 ‘-니까’를 중심으로
이용수 8
- 영문명
- The Semantic Function of Connective Ending in Korean Reason Structure : Focused on ‘-eoseo’ and ‘-nikka’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변정민(Jungmin B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1권 제1호, 23~4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연결어미 ‘-어서’와 ‘-니까’의 의미 기능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두 연결어미는 선행절이 후행절의 이유가 되는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이 때 두 어미가 서로 교체되어 나타나기도 하지만 각각 구분되어 분포에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이 때 ‘-어서’는 선행절과 후행절을 단지 인과성으로 연결하지만, ‘-니까’는 두 절의 필연적인 상관성을 강조한다. 곧 화자가 결과를 야기한 이유에 대한 논리적 필연성을 강조하고자 할 때 ‘-니까’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 기능의 차이로 ‘-어서’는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 청자의 의향을 묻는 의문문에서 제약이 따른다. 이 문장들은 모두 화자가 청자의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거나 행동화하게 하는 성격이 있다. 하지만 ‘-어서’는 인과성을 객관화하여 나타낼 뿐 화자가 그 논리적 관계의 필연성을 강조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청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표현에는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니까’는 청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유에 대한 필연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 청자의 의향을 묻는 의문문에서 자연스럽게 쓰인다. 반면 ‘-니까’의 의미가 화자의 이유에 대한 필연성을 강조하기에 사과, 감사, 인사 표현에서는 그 쓰임이 어색하다. 왜냐하면 ‘-니까’가 쓰인 구문은 이유가 두드러지게 되어 사과나 감사에 대한 따짐이나 원망 등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니까’가 문형의 제한 없이 두루 쓰이지만, 실제 사용에서 ‘-어서’가 높은 빈도를 차지는 것은 선행절과 후행절의 인과성만을 나타내는 의미 기능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semantic function difference of connective ending ‘-eoseo’ and ‘-nikka’. The connective ending ‘-eoseo’ and ‘-nikka ’ represent causal relation of the first clause and the second clause in the sentence. These endings are changed in reason structure and are used to similar meaning in the sentence. However ‘-eoseo’ and ‘-nikka’ have different meaning. The ‘-eoseo’ represents the speaker‘ thinking that is consisted of universal causal relation. On the other hand ‘-nikka’ emphasizes speaker’ psychological aspects for causal correlativity and has meaning of the logical necessity between the first clause and the second clause. For this reason, ‘-eoseo’ is used in a declarative sentence, but ‘-nikka’ is used in an imperative sentence, a suggestive sentence, an appointment sentence, a sentence asking a intension. The point of these sentences is that speaker gets motivation to listener’ behavior or goes into action to listener so ‘-nikka’ is possible. Also ‘-nikka’ is not used to the apology expression, gratitude expression because the meaning is construed as argumentation, blame etc. But ‘-eoseo’ is widely used in these sentence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의 검토
3. ‘-어서’와 ‘-니까’의 의미 기능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문학 읽기를 위한 어휘 주석 연구 - 사회·문화적 배경지식 및 맥락 이해 추가 설명을 중심으로
- 베트남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 모색 - 교사요구와 교육 정책 변화에 따른 과제 중심으로
- 한국어 속담에 나타난 과장 표현 연구 - 의미 양상을 중심으로
- 터키의 한국문화 교재에 대한 분석과 활용 및 개선 방안 - KORE’Yİ TANIYARAK KORECE ÖĞRENELİM(『한국을 알아가면서 한국어를 배웁시다』)를 대상으로
-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의미 기능 : ‘-어서’와 ‘-니까’를 중심으로
- 역할극을 활용한 무역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다문화 문식성 향상을 위한 독서 지도 방안 - 문학 텍스트 활용을 중심으로
- 교육 이념의 전환을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유레카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