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조화된 오류 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철자 오류와 발음 오류의 관련성 연구 - 중국인의 한국어 철자 오류에 대한 국어 음운론적 관점의 분석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lling Errors and Pronunciation Errors of Korean Learners by Analyzing Structured Error Data : An Analysis of Korean Phonological Perspective on Korean Spelling Erros by Chinese Stude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임현열(Hyeonyeol Im) 고랑원(Rangwon Go)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6권 제1호, 297~32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생이 한국어 수업에서 제출한 딕토글로스자료를 활용하여 구축한 철자 오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철자오류의 다양한 유형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러한 오류들이 기존에연구된 중국인 학생의 한국어 발음 오류 유형과 어느 정도 대응이 되는지 살폈다. 그 결과 자음과 관련해서는 철자 오류와 발음 오류가 상당한 관련성이 있다는 점을 검증했다. 반면 모음과 관련해서는 철자오류와 발음 오류가 관련이 있기는 하지만, 한글 모음의 이미지 특성이 철자 오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공존하고 있다는 점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좀 더 정확한 철자법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발음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다만, 본 연구의 시도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자음과 달리 모음의철자 오류는 발음 오류 이외의 다른 요인들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For this study, we created a spelling error database from the dictogloss data submitted by a Chinese student studying Korean and looked at various types of spelling errors. Subsequently, we looked at how these errors corresponded to the types of Korean pronunciation errors that were previously studied by Chinese students. Though consonants prove that spelling and pronunciation errors are highly relevant, such errors are not too highly related to vowels. They also show that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Han-gul vowels may have affected spelling errors. The study suggests that Chinese students learning Korean should first improve their pronunciation to get a more accurate spelling. However, this research is limited to Chinese students learning Korean. Subsequent studies are, therefore, needed to cover learners of other languages. Furthermore, unlike consonants, spelling errors in vowels are likely to have impacted factors other than pronunciation errors. Therefore, a separate study on this issue is needed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철자 오류의 양상
3. 철자 오류와 발음 오류의 관련성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조화된 오류 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철자 오류와 발음 오류의 관련성 연구 - 중국인의 한국어 철자 오류에 대한 국어 음운론적 관점의 분석
- 베트남 학습자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한국 현대문학을 활용한 토론·토의 수업 모형 연구 -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 한국어 읽기 문화 교재의 어휘 난이도
- 첨삭 주체에 따른 외국인 대학생 글의 양상 분석 - 동료첨삭과 교수첨삭을 중심으로
- 한국어 핵억양 유형에 따른 태도 지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 고쳐말하기와 학습자 반응 간의 상관관계 연구
- 귀국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 형성을 위한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 유학생 역번역문에 나타난 어휘 연구
- 한국어 국외보급 활성화를 위한 세종학당 정책집행의 효율화 방안 연구 - 집행기관의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 헝가리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현황과 과제 - 헝가리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자의 특징 분석을 중심으로
- 이주노동자의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고찰 - 네덜란드의 이주노동자 언어 교육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