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노동자의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고찰 - 네덜란드의 이주노동자 언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용수 7
- 영문명
- A Review of Policies to Improve Migrant Workers’ Language Skills : Language Education for Migrant Workers in the Netherland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유인(Yu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6권 제1호, 261~29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계화의 영향으로 초국가적 네트워크가 출현하고 자본주의가 발달하며 노동 이주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도 경제적인 발전과 저출생·고령화 등으로 인해 국내에 체류하는 이주노동자가 증가하면서 이들에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랫동안 다문화정책을 실시했던 네덜란드가 통합 정책으로 정책적 전환을 시행하며언어 능력 강화를 목적으로 제시한 언어 정책과 언어 교육 제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네덜란드는 언어 교육을 의무화하여 이주자의 노동시장 진입을 돕는 경제적 동화를 목적으로 'Stricter Policy'를 실시했다. 네덜란드 정부는 이주노동자가 언어 교육을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면 업무 수행과 생산성이 향상되고 이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며 자신이 속한 사회의 일원으로써 정체성과 소속감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네덜란드의 사례를 통해 언어 교육이 이주노동자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leads to the emergence of a transnational network, further development in capitalism, and subsequently, a rise in labor migration. In Korea, like everywhere else in the world, the issue of migrant workers is being raised, as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who stay in the country has grown as a result of its economic growth,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ine language policies and the language education system in the Netherlands, which has long implemented multicultural policies to strengthen language skills, as it made a policy pivot towards integration; this study thereby reviews what would be a good policy direc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vided to migrant workers living in Korea. The Netherlands put in place a ‘stricter policy’ for economic assimilation, which helps migrants enter the labor market because it makes provision of language education mandatory. Giving the reason behind the policy, the Dutch government said that if migrant workers are able to communicate better as a result of language education, it would improve work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which could then help them seek economic benefits as well as live with a sense of identity and belonging as a member of the society they are in. From the case of the Netherlands, the present study confirms that language education has had a direct effect on the lives of migrant workers.(Sangmyung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네덜란드의 이주노동자 정책
3. 분석 결과 및 제안
4. 정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조화된 오류 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철자 오류와 발음 오류의 관련성 연구 - 중국인의 한국어 철자 오류에 대한 국어 음운론적 관점의 분석
- 베트남 학습자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한국 현대문학을 활용한 토론·토의 수업 모형 연구 -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 한국어 읽기 문화 교재의 어휘 난이도
- 첨삭 주체에 따른 외국인 대학생 글의 양상 분석 - 동료첨삭과 교수첨삭을 중심으로
- 한국어 핵억양 유형에 따른 태도 지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 고쳐말하기와 학습자 반응 간의 상관관계 연구
- 귀국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 형성을 위한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 유학생 역번역문에 나타난 어휘 연구
- 한국어 국외보급 활성화를 위한 세종학당 정책집행의 효율화 방안 연구 - 집행기관의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 헝가리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현황과 과제 - 헝가리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자의 특징 분석을 중심으로
- 이주노동자의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고찰 - 네덜란드의 이주노동자 언어 교육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