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학생 역번역문에 나타난 어휘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A Study on the Vocabulary in the Back Transl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박은정(Eunj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6권 제1호, 157~18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역번역문에 관련된 것으로, 학습자들의오류 분석이 아니라 역번역문에 나타난 ‘문제 없는 차이’를 살펴보는연구이다. 고급학습자들의 역번역 문장에 나타나는 어색함, 즉 문제없는 차이는 언어 간 영향을 그 원인으로 들 수 있다. 한국어의 ‘거부감’을 ‘거부심’으로 역번역하거나 원문의 ‘활동’을 ‘행동’으로 역번역한 것들은 언어 간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문제가 없는 차이인 유의어로역번역한 어휘나 표현들은 상황에 따라 서로 대체될 수 없다는 것도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25년간’과 ‘25년 동안’ 이 바꾸어 쓸 수 있는유의 관계어지만 접미사와 명사라는 품사의 차이로 띄어쓰기에 차이가 있다는 것, 그리고 ‘생활 방식’ ‘방법 모색’ 처럼 함께 어울려 사용되는 어휘들에서 ‘방식’과 ‘방법’을 서로 대체해 사용할 수 없다는 것등 각각의 관계를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방식’과 ‘방법’, ‘활동’과‘행동’처럼 같은 의미의 한자어를 포함하고 있는 어휘들은 약간의 의미 차이로 문맥에 따라 사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할 어휘들이다. 학습자들은 유의 관계의 어휘들뿐만 아니라 공기하는 어휘를 학습해야 제대로 된 번역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원문과 동일한어휘로 번역을 하지 않더라도 원문의 의미와 달라지지 않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 번역이라는 사실을 고급학습자들이 알아야 하며 훌륭한 번역을 하기 위해서는 같은 내용을 전달하는 데 있어서도 다양한어휘와 표현으로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번역학을 위한, 특히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고려되어야 할 교육내용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고급학습자들이 번역을 하는 과정에서 언어 간 영향으로 나타나는 어휘 선택 양상을 통해 그동안 한국어교육에서 간과되었던 부분들이 번역전공 고급학습자에서는 중요한 교육항목들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고 본 연구의 결과는 번역 전공 학습자들뿐만 아니라그 외 고급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도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Korean learners’ back translation texts. The way that learners use Korean in back translation texts is different from how they use it in free writing. As there is an original text with which to compare the translation, back translation can be a way of examining how diversely the Korean language is expressed by advanced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ack translation can improve translation skills and show what contents are needed for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particularly regarding what advanced Korean learners in TOPIK Level 6 should know for professional translation. Learners tend to regard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ir back translation text as mistakes; however,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back translation text do not necessarily indicate translation errors. Learners should know exactly how their back translation differs from the original text. Although some of the discrepancies that occurred while learning Korean or practicing how to write sentences are not problematic, some may cause serious problems in translation. Either words or expressions may be substituted with others, but, in Korean translation classes, Korean advanced learners should fully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25년간 and ‘25년 동안’ are synonyms and can be substituted with each other; however, parts of speech are different as suffixes and nouns. It is also important to be aw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that are used together, such as ' 생활 방식' and '방법 모색', and words that contain the same meaning as ' 방법'and ‘방식’ and '활동' and '행동' and that they may vary in context with a slightly different meaning. This implies that learners must learn not only words in synonymy but also those in co-occurrence relation in order to use Korean properly. Additionally, learners must know that even though they translate the original text with different words or different sentential structures than used initially, their translation is not problematic if the meaning is similar to that of the original text. learners should know that translation in to other words or expressions does not matter if they do not translatein to the same vocabulary as the original, and ,in order to make a good translation, they must be able to use various words and expressions to convey the samething. This study implies a lot about educational cont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This thesis is significant in that it tells us that something that has been disregarded in Korean education so far can be an important aspect of education in translation studies.(Daegu University)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이론적 배경
3. 역번역문에 나타난 어휘 양상
4. 제언 및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조화된 오류 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철자 오류와 발음 오류의 관련성 연구 - 중국인의 한국어 철자 오류에 대한 국어 음운론적 관점의 분석
- 베트남 학습자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한국 현대문학을 활용한 토론·토의 수업 모형 연구 -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 한국어 읽기 문화 교재의 어휘 난이도
- 첨삭 주체에 따른 외국인 대학생 글의 양상 분석 - 동료첨삭과 교수첨삭을 중심으로
- 한국어 핵억양 유형에 따른 태도 지각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 고쳐말하기와 학습자 반응 간의 상관관계 연구
- 귀국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 형성을 위한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 유학생 역번역문에 나타난 어휘 연구
- 한국어 국외보급 활성화를 위한 세종학당 정책집행의 효율화 방안 연구 - 집행기관의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 헝가리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현황과 과제 - 헝가리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자의 특징 분석을 중심으로
- 이주노동자의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고찰 - 네덜란드의 이주노동자 언어 교육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