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핵억양 유형에 따른 태도 지각 양상 연구

이용수  5

영문명
The perceptual aspects of attitude according to Korean nuclear tone patterns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곽선우(Sunwoo Kwak)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6권 제1호, 1~3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주된 목적은 평서문 {-아/어}에서 나타나는 평탄 억양, 하강-상승 억양, 상승-하강 억양, 상승-하강-상승 억양, 하강-상승-하강 억양유형의 산출적 특성이 냉정, 친절, 짜증난 태도의 지각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억양 유형이 태도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각 5가지 억양 유형에 따른 냉정, 친절, 짜증난 태도로 지각되는지를 35명의 표준어를 구사하는 청자들에게 리커트 척도(7점)로 평가하게 하였다. 그 결과 청자들은 억양패턴이라는 단서를 사용하여 평탄 억양에서는 냉정한 태도, 하강-상승 억양에서는 친절한 태도, 상승-하강 억양, 상승-하강-상승 억양, 하강-상승-하강 억양에서는 짜증난 태도를 지각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서 핵억양에 따라 태도를 지각하는 주된 반응이 나타나 청자가 핵억양을 태도적 의미를 해석하는 단서로 사용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고, 핵억양의 실현 양상에서 보이는 억양 유형이 지각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밝혀 핵억양 유형에 따른 태도 지각 양상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제공했다는 데에 연구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how different attitudes (such as cool, kind, and irritated) are perceived, based on five intonation patterns—level, falling-rising, rising-falling, rising-falling-rising, and falling-rising-falling—that appear in declarative sentences {-a/ʌ}.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 intonation type on the perception of attitude was also investigated. 35 native Korean listeners used a 7-point Likert scale to evaluate the perception of cool, kind, and irritated attitude according to the five intonation types. The results showed that listeners used intonation patterns as clues and perceived level intonation as cool attitude; falling-rising intonation as kind attitude; and rising-falling, rising-falling-rising, and falling-rising- falling intonation as irritated attitude.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listeners use nuclear tones as a clue for interpreting attitudinal mean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empirical data on the perceptual aspects of attitude. Using to nuclear tone patterns, the study clarifies the perceptual realization of the type of intonation that is observed in the productive distribution of nuclear ton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3. 지각 실험
4. 억양 유형에 따른 태도 지각 양상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선우(Sunwoo Kwak). (2019).한국어 핵억양 유형에 따른 태도 지각 양상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6 (1), 1-37

MLA

곽선우(Sunwoo Kwak). "한국어 핵억양 유형에 따른 태도 지각 양상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6.1(2019): 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