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급 한국어 말하기 앱 개발 연구 - D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15
- 영문명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Beginner Korean Speaking App : Focusing on the Curriculum of D University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최은경(Eun-Kyung Choi) 이인희(Inhee Lee) 박소연(Soyeon Park) 이미영(Miyoung Lee) 구인영(Inyoung Koo)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0권 제2호, 131~15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습용 앱 개발 연구로서 D대학 초급 말하기 스마트폰 앱 개발 과정을 토대로 학습용 스마트폰 앱 개발의 실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D대학의 스마트폰 앱은 다음 6가지의 기준에 따라 개발되었다. 첫째, 정규과정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토대로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둘째, 핵심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세분화하여 학습의 수월성을 추구하였다. 셋째, 교사의 지도 없이 자율학습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넷째, 학습자와 콘텐츠 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다섯째, 학습자 스스로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 활동에 대한 정확한 피드백 및 평가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 스마트폰 앱은 각 단원을 세 개의 소단원으로 구성하여 각 소단원의 항목도 개별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어휘, 문형에 대한 학습 외에도 문장 연습, 대화 연습을 제시하였고 여기에 학습자가 문장을 발화했을 때 모범 발화와의 일치도를 수치와 모형으로 제시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이로 인해 학습자 스스로가 의사소통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습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활용에 해당하는 실전 대화를 제시하여 각 역할을 학습자가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복습 및 평가 과정을 제공하여 자신의 학습 결과를 학습자 스스로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을 복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의 정규과정 주교재를 토대로 스마트폰 앱의 콘텐츠를 체계적인 교육과정으로 구성하였다는 점과 그 개발 과정의 실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development process of learning smartphone apps based on the D University beginner speaking smartphone app development and examine the learning app development research proc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D University's smartphone app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ix criteria: (1) the content was composed based on the systematic curriculum regular course; (2) it pursued the learning excellence distributing it around core contents; (3) it was developed to enable self-learning without teacher guidance; (4) it was developed to enabl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contents; (5) learners made self-directed learning possible; and (6) accurate feedback and evaluation analysis on learning activities were made. In this smartphone app, each unit is composed of three sub-units to ensure, the items of each sub-unit are studied individually. In addition to learning vocabulary and sentence patterns, sentence practice and conversation practice were suggested, and a function to present the degree of agreement with model utterances in numerical form and model when the learner uttered a sentence was added. Consequently, learners can self-practice to increase their communication the accuracy. In addition, practical conversations corresponding to utilization were presented to ensure learners could select and perform each role. Finally, self-directed learning is made possible by providing a review and evaluation process so that learners can check their own learning results and review the lacking par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contents of the smartphone app are organized into a systematic curriculum based on the main textbooks for regular college courses and that the actual development process is present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D대학 초급 말하기 스마트폰 앱 개발 과정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