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번역사의 전환기(轉換期)에 대한 소고 - <번역소학>과 <소학언해>를 중심으로
이용수 40
- 영문명
- A Study on the Transition Period of Korean Translational History : Focusing on “Beonyeok Sohak” and “Sohak Eonha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임형재(HyungJae Lim) 리번 켈빈(Lee Bun Calvi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0권 제2호, 65~9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 중종, 명종, 선조 세 시기에 걸쳐 <소학>의 변천 과정을 깊이 있게 탐색함으로써, 한국어 번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중종 이전, <소학>은 한자로 쓰여 일반 백성과 부녀자들이 접근하기 어려웠다. 이런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번역 작업을 통해서 <번역소학>이라는 번역본이 중종 때 출간된 것이다. 그리고 이 번역 사업을 통해, 당시의 사회적 윤리를 교육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명종시기에는 <소학>이 왕의 도덕과 품성 함양에 도움을 주는 도서로서 인식되었으며, 이는 왕실과 사회 전반에서 <소학>과 번역본인 <번역소학>이 사회적 가치 기반으로 사용되어, 중종시기 번역의 목적을 잘 달성하고 있었다. 하지만 중종시기에는 <번역소학>에 대한 번역의 문제가 비판받게 되는데, 이는 정치적 관점의 문제를 <소학>의 내용이 아닌 번역 전략과 방법의 문제로 규정하였다. 이 때문에 교정청에서 문제 해결을 위해 <소학>을 재번역하여, <소학언해>를 출간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은 조선시대 한국어 번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을 보여준다. 언문일치를 위해 한글과 한국어로 의역된 <번역소학>을 다시 한자 중심으로 언문이치가 드러나는 직역의 <소학언해>로 재번역한 것이다. 이러한 번역에 대한 사회적 관점과 태도의 변화는 <번역소학>에서 <소학언해>로 이어지는 주요 전환점을 제시하며, 조선시대의 사회, 문화, 정치적 태도를 반영하는 번역사의 전환점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한국어 번역사 연구 패러다임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번역소학>과 <소학언해>의 69년 간기의 변화를 통해 한국 번역사의 전환기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a key transitional point in Korean translation history through the evolution of “Sohak” during the reigns of Jungjong, Myeongjong, and Seonjo in the Joseon era. Prior to Jungjong's rule, “Sohak” w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limiting its accessibility to the general population and women. To address this, a translated version called “Beonyeok Sohak” was introduced during Jungjong's reign, aiming to educate the public about societal ethics. During Myeongjong's reign, “Sohak” was viewed as instrumental for cultivating the king's morality, underlining its societal value. However, in Seonjo's reign, the translation of “Beonyeok Sohak” faced scrutiny, perceived as a political issue rather than a content-based problem. This criticism led to a retranslation of “Sohak,” resulting in “Sohak Eonhae,” marking a pivotal point in Korean translation history. This transition from “Beonyeok Sohak” to “Sohak Eonhae” reflects societal, cultural, and political shifts of the era. The study offers a fresh perspective on this transitional period, reinterpreting the paradigm of Korean translation history.
목차
1. 서론
2. 번역사의 전환기에 대한 분석 방법
3. 『소학』의 두 번역에 대한 검토
4. 한국어 번역사의 전환기에 대한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