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번역 교육을 위한 번역오류 유형화 고찰
이용수 14
- 영문명
- Examination of Typology of Translation Errors For Korean Translation Research Guidanc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민영(Min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0권 제2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류 판정은 텍스트의 유형에 따라, 평가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달라질수도 있으며, 시대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번역 결과물의 오류에 관한 지속적인 분석 연구가 필요하고,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다양한 오류 분석의 틀을 보여 각각의 장점과 한계점에 대해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인간 번역에서 기계번역에 이르기까지 최근의 번역오류 연구 동향을 살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번역교육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둔다. 혼재되어 있는 오류 유형화의 틀을 범주 별로 분석해 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한국어 번역오류 연구의 방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서두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이어 번역 품질평가 측면에서 오류가 어떻게 유형화되는지를 보았다. 다음으로 번역 전략적 관점에서 오류 분석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비문학, 그리고 문학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최근 주목 받고 있는 기계번역의 오류 분석에 대해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논의를 통해 한국어 번역 오류 유형을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최근 널리 인용되고 있는 Vilar 외(2006)의 분류를실마리로, 형태, 통사적 접근, 의미, 화용적 접근, 텍스트 차원의 접근등 세 개의 대분류 아래 한국어의 언어학적 특성에 맞는 세부 분류를두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typology of translation errors in translation studies published to date. An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re studying Korean translation errors, and this study was an endeavor to develop a framework to assist scholars with their analyses of translation errors. This study first determined how error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translation quality evaluation, and then examined how error analyses were performed from a translation strategy the perspective. The data were divided into non-literary and literary domains. The error analysis of a machine translation was subsequently scrutinized, comprising an error censorship of the machine translation system itself, as well as an analysis of human errors. Researchers’ views and discussions on the kind of analysis framework that would serve the purpose best, had to be incorporated. Determining and classifying errors is not an easy task, and continual analytical studies are consequently needed on errors in translation results. To do so necessitates that the typification of errors should first be done, and this stud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in that respect. I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foreign students studying Korean translation errors.
목차
1. 서론
2. 논의의 배경
3. 연구 방법 및 대상
4. 번역오류 유형화 양상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