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가용 염색 차트의 적색 염색모 비교 연구: A사, M사, L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25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Red Dyed Hair on a Professional Coloring Chart: Focusing on A, M, L Company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황수경(Su-Kyeong Hwang) 천수경(Soo-Gyeong Chun) 박은준(Eun-J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5권 제3호, 255~26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2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recent times, the hair coloring market has undergone rapid changes and expansion. Yet, beauty salon professionals have encountered challenges in attaining the desired hair colors. Due to a scarcity of relevant research, this study aimed to quantify the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of red-dyed hair using the hair color charts of a prominent hair dye brand from various countries, aiming to delineate any discrepancies. Additionally, it sought to enhance beauty salon workers' comprehension of red-dyed hair and red dyes,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beauty industry by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The study employed a chroma meter (CR-400) for color comparison,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Tokyo, Japan). Subsequently, the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from the hair color charts of Companies A, M, and L were each measured five times. These measurements were then comparatively analyzed us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Specifically, after selecting red-dyed hair with a level of 8 or higher on the hair color chart from each brand, means were calculated. Subsequently,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of the hair dyes from Companies A, M, and L were compared. In terms of red expression, Company A showed the highest levels, while Company L exhibited high levels of both redness (a*) and yellowness (b*) in virgin hair.
This study is limited as it only covered three companies (A, M, and L) and investigated samples from the red-dyed hair chart exclusively. Nevertheles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beauty industry. This can be achieved by enhancing customer trust and providing better services through uncovering differences among hair coloring brands and discovering the colors customers prefer.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대 여성의 두개골 봉합 견인 요법이 안면 비대칭의 경.연조직 교정에 미치는 영향
- 피카소의 큐비즘 표현기법과 AI 미드저니를 활용한 아트마스트 디자인 연구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5권 제3호 목차
- 메타버스 게임화 교수법이 미용전공 외국인 대학생의 학습 몰입도 학습 만족도 학습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SMP 피시술자의 위험지각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20대 미용전공 여대생들의 미용실 염색 제품에 대한 만족도
- 모발염색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 미용교육 에듀테크 연구동향 파악을 통한 발전방안 탐색 - 빅데이터 기반 Textom 활용 중심
- 초현실주의와 이미지 생성형 AI를 이용한 회화적 메이크업 작품제작
- 떨잠의 장식부를 모티브로 한 네일 장신구 디자인 연구
- Citrus 과피 추출물 중간 처리가 펌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여성 골프 동호인을 대상으로 골반·하지 딥티슈 마사지가 체형균형에 미치는 영향
- 20-30대 소비자가 지각한 헤어살롱의 ESG경영과 ESG인식, 재방문의도의 관계
- 메디컬 네일 케어 이용현황 분석 연구: 20~50대 이상을 대상으로
- 특허 분석 기법을 활용한 네일케어 기술 동향 분석
- 중국 남성의 외모관심도 및 화장품 구매행동 관한 연구
- 전문가용 염색 차트의 적색 염색모 비교 연구: A사, M사, L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뷰티 테크 사례 연구 - 이미지 생성 분야를 중심으로
- 헤어뷰티샵 고객의 소비성향이 관계몰입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의 회화를 응용한 디지털 네일 디자인 연구
- 미용학과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에 따른 취업욕구 관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