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sed in Beauty Salons for Satisfaction with Hair Coloring Products among College Women in their 20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고은(Go Eun Lee) 박은준(Eun-J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5권 제3호, 89~10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2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contemporary society, the significance of one's appearance has amplified,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new aesthetic standards. In this context, hair fashion has become prominent among college students as a means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keep up with the latest trends (Song Jun-ok, 2008). Within hair fashion, coloring has emerged as a notable trend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While hair coloring was predominantly associated with certain women in the 1990s, it has since become increasingly prevalent among young people.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the beauty industry, there has been a surge in studies focusing on hair design within hair-related colleges,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majoring in beauty-related courses. Consequently, more students are opting for a hair-related major and securing employment within the hair industry.
When it comes to hair coloring, agent 1, known as ‘oxidation dye’, facilitates the reduction of hair, while agent 2, ‘hydrogen peroxide’, achieves hair coloring through the generation of an oxidative coupling reaction. This process leads to protein modification in the hair, resulting in dryness and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proper hair care. 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in hair fashion, it has been challenging to find studies on the correct use of hair dy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with their hair coloring products, with the goals of recommending the correct usage of hair dyes and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ir further growth and development.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떨잠의 장식부를 모티브로 한 네일 장신구 디자인 연구
- 20-30대 소비자가 지각한 헤어살롱의 ESG경영과 ESG인식, 재방문의도의 관계
-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의 회화를 응용한 디지털 네일 디자인 연구
- SMP 피시술자의 위험지각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초현실주의와 이미지 생성형 AI를 이용한 회화적 메이크업 작품제작
- 여성 골프 동호인을 대상으로 골반·하지 딥티슈 마사지가 체형균형에 미치는 영향
- 헤어뷰티샵 고객의 소비성향이 관계몰입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Citrus 과피 추출물 중간 처리가 펌 형성에 미치는 영향
- 특허 분석 기법을 활용한 네일케어 기술 동향 분석
- 피카소의 큐비즘 표현기법과 AI 미드저니를 활용한 아트마스트 디자인 연구
- 미용교육 에듀테크 연구동향 파악을 통한 발전방안 탐색 - 빅데이터 기반 Textom 활용 중심
- 중국 남성의 외모관심도 및 화장품 구매행동 관한 연구
- 메타버스 게임화 교수법이 미용전공 외국인 대학생의 학습 몰입도 학습 만족도 학습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 기반 뷰티 테크 사례 연구 - 이미지 생성 분야를 중심으로
- 20대 미용전공 여대생들의 미용실 염색 제품에 대한 만족도
- 모발염색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 20대 여성의 두개골 봉합 견인 요법이 안면 비대칭의 경.연조직 교정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용 염색 차트의 적색 염색모 비교 연구: A사, M사, L사를 중심으로
- 메디컬 네일 케어 이용현황 분석 연구: 20~50대 이상을 대상으로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5권 제3호 목차
- 미용학과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에 따른 취업욕구 관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