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남성의 외모관심도 및 화장품 구매행동 관한 연구
이용수 5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earance Interest and Cosmetic Purchase Behavior of Chinese Men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멍이란(YiRan Meng) 설운화(YunHua Xue)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5권 제3호, 241~25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2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oncern among Chinese male regarding their appearance and their purchasing behavior towards cosmetics, aiming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interest in cosmetics among Chinese male consumers. A total of 359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hinese men aged 20 to 50 years, and 318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ultimately analyz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MAC 27.0 software, involving real numbers, percentages, frequency analysis, and X² tests. The study examined Chinese male awareness of their skin health, skin types, and skin concerns. The most common skin type among Chinese male was oily skin, and the most desired skin issue to address was rough skin. Based on factor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household monthly income, the study analyzed the types of general cosmetics purchased by Chinese male. The research found that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cosmetics based on age,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income were facial cleansers, shaving products, and sunscreen. Among students, moisturizers were among the most purchased cosmetic products. Despite high concern about appearance among Chinese men, the study concluded that their interest has not yet extended significantly to purchasing cosmetics, indicating a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se diverse findings are crucial for marketing strategies aimed at male cosmetics and can contribute to more targeted marketing and product development for the Chinese male consumer segment in the futur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내용 및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대 여성의 두개골 봉합 견인 요법이 안면 비대칭의 경.연조직 교정에 미치는 영향
- 피카소의 큐비즘 표현기법과 AI 미드저니를 활용한 아트마스트 디자인 연구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5권 제3호 목차
- 메타버스 게임화 교수법이 미용전공 외국인 대학생의 학습 몰입도 학습 만족도 학습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SMP 피시술자의 위험지각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20대 미용전공 여대생들의 미용실 염색 제품에 대한 만족도
- 모발염색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 미용교육 에듀테크 연구동향 파악을 통한 발전방안 탐색 - 빅데이터 기반 Textom 활용 중심
- 초현실주의와 이미지 생성형 AI를 이용한 회화적 메이크업 작품제작
- 떨잠의 장식부를 모티브로 한 네일 장신구 디자인 연구
- Citrus 과피 추출물 중간 처리가 펌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여성 골프 동호인을 대상으로 골반·하지 딥티슈 마사지가 체형균형에 미치는 영향
- 20-30대 소비자가 지각한 헤어살롱의 ESG경영과 ESG인식, 재방문의도의 관계
- 메디컬 네일 케어 이용현황 분석 연구: 20~50대 이상을 대상으로
- 특허 분석 기법을 활용한 네일케어 기술 동향 분석
- 중국 남성의 외모관심도 및 화장품 구매행동 관한 연구
- 전문가용 염색 차트의 적색 염색모 비교 연구: A사, M사, L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뷰티 테크 사례 연구 - 이미지 생성 분야를 중심으로
- 헤어뷰티샵 고객의 소비성향이 관계몰입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의 회화를 응용한 디지털 네일 디자인 연구
- 미용학과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에 따른 취업욕구 관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