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BI를 활용한 한국 역사 문화수업 방안 연구 - 통일 신라 시대를 중심으로
이용수 30
- 영문명
- Study on Korean History and Culture Class Method Using CBI - Focused on the Unified Silla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양민철(Mincheol Yang) 김혜진(Hyej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14권 1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CBI를 활용한 한국 역사 문화수업의 방안을 고안하고 실제 방향을 제시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CBI의 특징 및 여러 수업 모델들의 원리와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생각하기-내용 이해하기- 활용하기-마무리하기’ 라는 수업 절차를 구성하고 역사 문화수업의 실제 예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CBI를 활용한 수업 시 언어 교사가 가져야 할 전문 지식에 대한 부담감 그리고 교재 및 활동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method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class using CBI and present its direction for academic-purpose Korean learners.
Characteristics of CBI and various class models of CBI were examin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BI. The principle and procedure of applying CBI at education sites were also examined to verify the effects.
For the direction of actual class, the theme-based language instruction was determined as the class model as discuss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theme-based language instruction is the model used most widely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language teaching situations. The class procedure followed the three-step procedure (Into-Through-Beyond) presented by Brinton (1994). However, this three-step class procedure was renamed as ‘Thinking - Understanding - Utilizing - Finishing’ for convenience.
The history and culture class using CBI comprised two periods, and it was planned out to focus o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first period comprised thinking and understanding ①. The second period comprised understanding ②, utilizing, and finishing. Examples were presented.
Lastly, this study presented the burden of language teachers for professional knowledge in CBI classes, teaching materials, and activ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CBI를 활용한 한국 역사 문화수업 방안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