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 연구

이용수  210

영문명
A Study on the Class Model of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어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주현정(hyun jeong Ju)
간행물 정보
『한국어문화교육』제14권 1호, 103~13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7.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언어문화 교육을 위해 영상매 체를 활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해서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에 내재되어 있는 언어문화에 대 해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 문화와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는 상이하므로 그 문화적 배경 차이로 인해 학습자는 한국어 언어문 화를 이해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어 언어문화 를 교수하기 위해 언어문화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것을 교수하기 위한 영상매체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상매체는 실제적인 담화 상황을 수반하여 학습자가 한국인의 발화를 직접 적으로 보게 하는 적절한 매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트 콤은 영상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드라마나 영화보다 실제 담화 상황과 거의 흡사하므로 언어문화를 교육하는 데에 효과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시트콤을 활용한 언어문화 수업모형을 제시하여 한국어 학습자가 언어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고 실제 담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영상매체는 작품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기준이 까다롭다는 한계점이 있다. 차후 연구에는 한국어 언어문화를 교육하기 위한 다양한 매체 활용법과 수업 모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lass model using video media for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To learn Korean, Korean language learners need to understand the language culture inherent in the Korean language. However,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becomes an element that makes it harder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 because Korean culture and cultur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Korean language culture has to offer and suggested the use of video media to teach that. Video media is accompanied by actual discourse situations and can be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media that allows learners to directly see the spoken words of Korean. Among them, sitcoms are effective in educating language culture because the length of the video is relatively short and contains conversations that are almost the same as the actual conversation than drama or movi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helping Korean language learners to build background knowledge on Korean language culture and to lead to actual discourse by suggesting a language culture class model using sitcom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re are strict consideration and standards when selecting visual media. Various media usage methods and class models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culture will have to be presented in future research.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3. 영상매체 활용의 교육적 효과
4. 영상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언어문화 수업 모형
5.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현정(hyun jeong Ju). (2020).한국어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 연구. 한국어문화교육, 14 (1), 103-131

MLA

주현정(hyun jeong Ju). "한국어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 연구." 한국어문화교육, 14.1(2020): 103-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