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직적 사기범죄의 양형기준에 대한 개선방안

이용수  54

영문명
Improvement of Sentencing Guidelines for Systematic Fraud Crime
발행기관
한국형사정책학회
저자명
박찬걸(Chan-Geol Park)
간행물 정보
『형사정책』第36卷 第2號, 261~29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직적 사기의 범죄수법은 더욱 지능화·조직화되고 있어 범인의 검거나 관련 증거의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며, 범인을 실제로 검거하였다고 하더라도 범죄의 수익을 몰수하기가 힘들어 피해의 구제에 어려움이 있으며, 최종적으로 선고되는 형량 역시 지나치게 낮게 책정되어 소위 ‘경제적 살인’이라고도 불리우는 조직적 사기범죄에 대한 국민의 처벌욕구 내지 법감정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다방면에서 지적되고 있다. 조직적 사기범죄는 다수인이 조직직이자 지능적으로 역할을 분담하여 범죄를 범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금전적인 피해 또한 불특정 또는 다수인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고전적인 사기범죄와는 질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조직적사기범죄의 경우 다른 재산범죄와 비교하여 가정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존재한다는 점은 최종 선고형 상향의 논거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차이점을 살펴 보지 못한 채 기존의 규범체계에 조직적 사기범죄를 포섭할 경우에는 그 가벌성에 대한 평가가 적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피고인의 막대한 이익과 피해자의 막대한 피해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처벌로 말미암아 형벌의 예방목적도 달성하기가 요원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현재 상황의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기죄의 양형처리기준을 정밀하게 보완하여 새롭고 합리적인 양형처리기준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현재의 사기범죄 양형기준에 대한 변화가 요청된다. 이하에서는 조직적 사기범죄에 적용되고 있는 구체적인 양형인자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실제 선고형의 상향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 형량 강화의 구체적인 방안을 염두에 두어 현재의 상황을 합리적으로 개선 및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기로 한다.

영문 초록

As the criminal method of systematic fraud is becoming more intelligent and organized, it is difficult to arrest criminals or secure related evidence. Even if the criminal is actually arrested, it is difficult to confiscate the profits of the crime, making it difficult to remedy the damage. The final sentence is also set too low, and the problem of not meeting the people’s desire for punishment or legal sentiment for systematic fraud, also called 'economic murder', is pointed out in many ways. Systematic fraud crimes are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classical fraud crimes in that many people commit crimes by sharing roles intelligently and organizing positions. Therefore, in the case of systematic fraud crimes, the fact that families are often destroyed compared to other property crimes can be fully utilized as an argument for raising the final sentence. If systematic fraud crimes are included in the existing normative system without looking at these differences, it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preventing punishment due to punishment that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enormous interests of the accused and the enormous damage of the victims.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ituation discussed abov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new and reasonable sentencing standards by precisely supplementing the existing sentencing standards for fraud. Accordingly, a change in the current sentencing standards for fraudulent crimes is required. In the following, various problems are deriv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specific sentencing factors applied to systematic fraud crimes. After that, with concrete measures to strengthen the sentence that can lead to an upward adjustment of the actual sentence, a plan to reasonably improve and supplement the current situation will be suggested.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조직적 사기범죄의 양형 실태
Ⅲ. 조직적 사기범죄의 개별적인 양형인자 검토
Ⅳ. 글을 마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찬걸(Chan-Geol Park). (2024).조직적 사기범죄의 양형기준에 대한 개선방안. 형사정책, 36 (2), 261-294

MLA

박찬걸(Chan-Geol Park). "조직적 사기범죄의 양형기준에 대한 개선방안." 형사정책, 36.2(2024): 261-2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