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교원 창업에 대한 인식 및 역량 요구도 분석
이용수 54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and Competency Needs of Faculty's Start-up in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 저자명
- 김인숙(In-sook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컨설팅코칭연구』제8권 제2호, 65~8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의 창업에 대한 인식 및 창업 역량 요구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원 창업의 지원 방안을 도출하고 교원 창업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대학의 교수 전체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적용하여 창업 역량 요구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교원 창업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대학의 교원 창업 제도에 대한 인식, 대학 차원의 교원 창업 지원에 대한 인식과 동료 교원 창업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원 창업 역량의 현재 실행도와 미래 중요도 차이 분석 결과는 모든 역량 항목에서 미래 중요도가 현재 실행정도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 창업 역량 요구 우선순위는 총 11가지 역량 중 비즈니스 문제해결 능력, 특허 보유 및 기술개발, 팀빌딩과 리더십, 네트워킹 역량, 자금조달 역량의 5가지 역량이 최우선 영역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첫째, 교원 창업의 성공적인 사례를 홍보하여,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고 창업 문화를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맞춤형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원 창업을 위한 전문성 활용 시스템으로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원의 창업 역량 강화를 통해 교원의 비즈니스 문제 해결 능력, 특허 보유 및 기술 개발, 팀빌딩과 리더십, 네트워킹 등의 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 교원 창업 문화 확산 및 활성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실천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원 창업 문화 확산 및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지원 전략 수립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faculty's start-up by deriving effective support measures by analyzing the university's perception of faculty start-up and needs for start-up competencie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professors at University A, and priorities were derived by applying the t-tes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The main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overall perception of faculty start-up was high, but the perception of the university's faculty start-up system, the university-level faculty start-up support, and the perception of peer faculty start-ups were low.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aculty start-up competencies showed that the future importance was higher than the current performance in all competency items, and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mong a total of 11 competencies, five competencies were found to be the top priority areas.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positive awareness of creative start-ups and spread the start-up culture by promoting successful cases of faculty start-up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stomized start-up support program and systematize it as a system for utilizing expertise for faculty start-up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faculty's competencies in solving business problems, patent holding and technology development, team building and leadership, and networking by strengthening faculty's start-up capabil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field-oriented practical measures to spread and revitalize the university faculty start-up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fic support strategies for spreading and revitalizing the faculty start-up cul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