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남학생의 신체활동 정도에 따른 식생활 습관과 건강체력의 비교
이용수 110
- 영문명
- Comparison of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physical strength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level of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윤성준(Sung Jun Yum)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8권 제3호, 113~12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남학생의 신체활동 정도에 따라 식생활 습관과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I광역시 G구에 위치한 S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 9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국제신체활동 설문지(IPAQ)의 MET-minute 산출방법을 토대로 고강도 신체활동 집단39명, 중강도 신체활동 집단 30명, 저강도 신체활동 집단 23명으로 분류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dows 21.0 ver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집단 간 식생활 습관 및 건강체력의 비교를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를 사용하였다. 식생활습관 요인은 규칙적인 생활(p<.001), 균형 잡힌 식생활(p<.001), 식생활과 건강(p<.001), 종합점수(p<.001) 모두에서 고강도 신체활동 집단과 중강도 신체활동 집단이 저강도 신체활동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체력요인은 심폐지구력(p<.01), 유연성(p<.05), 순발력(p<.05)에서 고강도 신체활동 집단과 중강도 신체활동 집단이 저강도 신체활동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바람직한 신생활 습관의 형성과 건강체력의 향상을 위하여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의 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male) level of physical activity on their eating habits and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2 6th grade male students from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 District, I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MET-minute calculation method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group(n=39), a moderate-intensity physical activity group (n=30), and a low-intensity physical activity group(n=23). SPSS/Windows 21.0 ver.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compare eating habits and health physical strength between groups, and Scheffe was used for post hoc testing. The eating habits factor was divided into the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group and the moderate-intensity physical activity group in all of the regular lifestyle (p<.001), balanced diet (p<.001), diet and health (p<.001), and overall score (p<.001). The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group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ow-intensity physical activity group. As for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factors, the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group and the medium-intensity physical activity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ow-intensity physical activity group in cardiorespiratory endurance (p<.01), flexibility (p<.05), and agility (p<.05). appear. Therefore, it is judged that support from home, school, and the community is most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orm new desirable lifestyle habits and improve their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년 재혼 여성의 ‘다시 살아내는 결혼 이야기’
- 가부장제 사회에서 내면화한 여성 역할에 대한 중년 여성의 극복 경험: 자문화기술지
- 군 전역 후 복학한 남자 대학생의 하이브리드 남성성 형성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또래 여성 주체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