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가들이 바라보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이용수 1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Korean Online Open Courses(K-MOOC) by Experts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장덕호(Deok-Ho Jang)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8권 제3호, 53~7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전문가들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한 결과, 학습 콘텐츠 측면에서는 학습 목적에 따른 차별화 전략 부재, 대학교육용 콘텐츠 개발 및 서비스 체계로 단순화, 콘텐츠의 내용적 획일화와 경직성 문제, 학습환경 및 플랫폼의 설계 측면에서는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인센티브 설계 부족, 미흡한 학습자 지원 기능, 교수・학습설계 측면에서는 학습 촉진을 위한 교수 설계 요소 부족, 상호작용이 용이하지 않은 UI/UX 디자인, 사업추진체계 측면에서는 사업 성격에 부합하지 않는 성과평가지표 요소의 포함과 함께 절대적 재정지원 부족 등이 지적되었다. 앞으로 사업 거버넌스에 전문가 참여를 확대하고, 모바일 환경을 수용한 완결된 플랫폼 구축과 함께 혁신적인 교수·학습 서비스 품질 제고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K-MOOCs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t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relevant expert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there is a lack of differentiation strategy according to learning purpose, simplification of content development and service system for university education, uniformity and rigidity of content, and lack of incentive design to motivate learning; in terms of learning environment and platform design, insufficient learner support functions;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lack of teaching design elements to promote learning, UI/UX design that is not easy to interact with; and in terms of project governance lack of absolute financial support along with the inclus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that do not match the nature of the busines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experts in project governance, build a complete platform that accommodates mobile environmen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innovative teaching and learning services.
목차
Ⅰ. 서 론
Ⅱ. K-MOOC 운영 현황과 주요 이슈 검토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년 재혼 여성의 ‘다시 살아내는 결혼 이야기’
- 가부장제 사회에서 내면화한 여성 역할에 대한 중년 여성의 극복 경험: 자문화기술지
- 군 전역 후 복학한 남자 대학생의 하이브리드 남성성 형성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또래 여성 주체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