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경채 공무원이 인식한 리더십과 공직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협업과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25

영문명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Collabor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mong Public Officials with Private Sector Careers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인사행정학회
저자명
이기형(Kihyung Lee) 이성심(Sungsim Lee)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3권 제2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민경채 공무원이 인식한 리더십과 공직만족도 간 관계에서 협업과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민경채 공무원 350명(남 226명, 여 124명)이며, 연구자료 분석은 PROCESS MACRO model6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민경채 공무원이 인식한 리더십, 공직만족도, 협업, 조직몰입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리더십과 공직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협업과 조직몰입의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민경채 공무원이 인식한 리더십 수준을 높여 협업을 높여주어야 하며, 높아진 협업이 조직몰입을 높여 공직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민경채 공무원의 공직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리더십과 협업, 조직몰입이 직접적,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그동안 공채 공무원 대비 부족했던 민경채 공무원의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collabor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s perceived by public officials with private sector careers. The study population is 350 civil servants with private sector careers (226 males and 124 females) from across the country, and the PROCESS MACRO model 6 was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dership, job satisfaction, collabor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erceived by public officials with private sector careers. Second, the full dual mediation effect of collabor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the level of leadership perceived by public officials with private sector careers should be increased to increase collaboration, and that increased collaboration can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n turn can increase job satisfac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re ar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leadership, collabor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mong public officials with private sector care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s a direction for the research of public officials with private sector careers, which has been lacking compared to public bonded public serva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형(Kihyung Lee),이성심(Sungsim Lee). (2024).민경채 공무원이 인식한 리더십과 공직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협업과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3 (2), 1-19

MLA

이기형(Kihyung Lee),이성심(Sungsim Lee). "민경채 공무원이 인식한 리더십과 공직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협업과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3.2(2024):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