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OE 모형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기반행정수용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53
- 영문명
- A study on the acceptability of Data Driven Public Administration based on the TOE model: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박예종(Yejo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3권 제2호, 85~11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데이터기반행정은 관련한 법제화 이후 여러 학술적·정책적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들은 연구의 다양성이나 체계성을 보장해주지 못하다는 한계에 봉착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조직·환경(TOE) 모델을 통해 학술적 체계성을 바탕으로 공공부문의 데이터활용 및 데이터기반행정의 수용을 위한 여러 요인을 실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술적 요인으로는 지각된 유용성과 기술양립성을, 조직적 요인으로는 조직준비성과 여유자원을, 환경적 요인으로는 규정적 지원과 이해관계자와의 관계를 설정하였다. 나아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현실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관계가 두 기관에서 차이가 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표본의 구분이 없는 통합적 모형에서는 기술 및 조직적 요인이 데이터기반행정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간에서는 기술, 조직, 환경적 요인의 영향력이 모두 다르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즉, 중앙정부에서는 조직요인인 조직준비성과 여유자원이 긍정적인 유의미함을 보여주었으며,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기술요인의 지각된 유용성, 조직요인의 조직준비성, 환경요인인 이해관계자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기관에서 데이터기반행정을 위해 요구되는 중요한 요인들이 갖는 영향력에서 상이한 결과를 보인 만큼 데이터기반행정의 효과적인 정착과 실현을 위해서는 기관별 맞춤형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Data Driven Public Administration has been the subject of many academic and policy discussions since its enactment. However, these discussions have faced the limitation of not guaranteeing diversity or systematicity of research.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demonstrate various factors for data utilization and acceptance of Data Driven Public Administration in the public sector based on academic rigor through the Technology,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TOE) model. Specifically, perceived usefulness and technological compatibility were set as technical factors, organizational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slack were set as organizational factors, and regulatory support and relationships with stakeholders were set as environmental factors. Furthermore, considering the real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e study verifi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 and consequent factors differed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an integrated model without distinction of samples, technologic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Data Driven Public Administr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all different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other words, in the central government, the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slack showed positive significance, and in local governments,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technical factor, organizational readiness of the organizational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relationship with stakeholders, showed positive significance. As a result, the two institutions showed different results in the influence of important factors required for Data Driven Public Administration, suggesting that tailored policy efforts for each institution are needed to effectively establish and realize Data Driven Public Administ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