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사 임금 격차에 대한 인식이 공무원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세대 간 차이

이용수  66

영문명
The Effects of Perceived Wage Disparitie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on Public Employees’ Turnover Intentions: A Focus on Generational Differences
발행기관
한국인사행정학회
저자명
이겨레(Gyeo Reh Lee )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3권 제2호, 21~4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한국 공직사회가 겪고 있는 저연차 공무원 이탈 및 이직의도 증가의 주된 원인으로 민간기업체 보수 대비 낮은 공무원 보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행정연구원의 공직생활실태조사 2022 데이터에 기반하여 공적영역과 민간기업체의 임금 격차가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불공정 이론(theory of inequity)을 토대로 공·사 임금 격차를 민간기업체의 유사 업무에 대한 보수 대비 공무원 보수 적정성으로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공·사 임금 격차가 적정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증가하며, 공·사 임금 격차가 적정하지 않다는 인식은 기성세대보다 MZ세대 공무원의 이직의도를 더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공무원 임금 상향 및 공·사 임금 격차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 개선 등을 포함한 공무원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대안들에 대해 논의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increased attention has been placed on the lower compensation of public employees compared to private sector employees as a primary cause of the growing trend of early-career public employee attrition and turnover intentions. Based on the 2022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wage disparitie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on public employees’ turnover intentions, focusing on differences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older generations. Utilizing the theory of inequity, the study measures and analyzes perceptions of the adequacy of public sector compensation relative to similar tasks in the private sector. The findings suggest that as perceptions of wage inequities grow, so do public employees’ turnover intentions. Moreover, such perceptions of wage inequities are found to strengthen turnover intentions more among MZ generation public employees compared to older generations. Based on these analyses, the study discusses alternatives to mitigate turnover intentions among public employees, including addressing wage disparitie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improving perceptions of public employees’ compens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론
Ⅳ. 연구의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겨레(Gyeo Reh Lee ). (2024).공·사 임금 격차에 대한 인식이 공무원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세대 간 차이.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3 (2), 21-48

MLA

이겨레(Gyeo Reh Lee ). "공·사 임금 격차에 대한 인식이 공무원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세대 간 차이."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3.2(2024): 2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