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학 연구 동향 분석: 「교육학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167
- 영문명
- Analysis of Educational Research Trends: Focusing on「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박상완(Sang-wan Park) 이지혜(Ji-hye Lee)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9권 제2호, 57~8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육학 분야의 종합학술지인 ‘교육학연구’에 게재된 연구물을 대상으로 한국 교육학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학연구 창간호부터 2023년 8월까지 게재된 논문 총 2,222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전체기간을 10년 단위의 총 6개의 기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교육학 하위 학문 분야, 연구목적,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대상이다. 분석결과, 첫째, 교육학 분야 중 교육심리, 교육사·철학 분야의 논문이 많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학 이론을 정립하고 탐색하는 기초 연구에서 현장 적용성이 높은 실용 연구가 증가하는 시계열 흐름,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교육학 연구’ 학술지 발간 초기에는 주로 다양한 교육학 이론 소개에 연구목적을 두었다면 2000년대 이후부터는 실태 분석을 기반으로 개선방안 제시를 연구목적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는 문헌연구와 질적연구가 강세였으나 2000년대 이후부터는 양적연구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넷째, 연구 대상은 1960년대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는 지방 및 국가 대상의 연구가 많았다가 점차 대학, 교원, 초중고등학교 등 다양한 연구 대상을 주제로 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Korean education based on research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a comprehensive academic journal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2,222 papers published from the first issue of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to August 2023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 entire period was divided into a total of six periods of ten years each. The analysis criteria are pedagogical sub-academic field, research purpose, research objective,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subj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ields of pedagogy, many papers in the fields of educational psychology, educational history, and philosophy were published. In the basic research to establish and explore pedagogical theories, we were able to discover the trend of time series and trends in the increasing number of practical studies with high field applicability. Second, in the early days of pedagogical research, the research purpose was mainly to introduce various pedagogical theories, but since the 2000s, the research purpose has included the suggestion of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ctual situation. Third, literatur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strong from the 1960s to the 1990s, but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strong since the 2000s. Fourth, from the 1960s to the early 1980s, there were many studies on local and national subjects, and gradually studies were conducted on various research subjects such as universities an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