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혼 여성근로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원과 가족친화제도가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5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Married Women’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Family-Friendly Policy 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Meditating Role of Career Aspirations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한은진(Eunjin Han) 박지원(Jiwon Park)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9권 제2호, 29~5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일하는 기혼여성들은 일과 가정의 역할에서 상충관계(trade-off)에 직면하게 되며 경력상 어려움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혼 여성근로자들이 인식하는 사회적 지원과 가족친화제도가 경력열망과 정서적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지원, 가족친화제도와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경력열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기업에서 근로하는 기혼 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응답을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원은 경력열망과 정서적 조직몰입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족친화제도가 경력열망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조직몰입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경력열망은 정서적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경력열망의 매개효과는 사회적 지원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가족친화제도와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arried women workers perceive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family-friendly policies on career aspirations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ogether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spirations. To achieve this, we conducted a survey of 300 married female employee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 effect on both career aspirations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family-friendly policies positively (+) influenc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their impact on career aspiration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areer aspirations positively (+) affect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aspiration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ffective commitment,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spir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policies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we provid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