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교육에서 내러티브 역량 개발 방향 탐구: 브루너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205

영문명
In Search of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Competence in Schooling: Focusing on Bruner’s Theory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마징이(Jing-Yi Ma) 강현석(Hyeon-Suk Kang)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9권 제2호, 83~121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학교교육에서 내러티브 역량의 중요성과 개발 방향 및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주로 문헌 조사와 사례 분석의 두 가지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학교교육에서 역량 개발의 방법과 도전, 내러티브 역량의 중요성 및 등장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간학문, 내러티브의 중요성을 반영한 수업의 세 가지 측면에서 내러티브 역량 개발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둘째, 사례분석 방법으로 우리나라의 세 가지 수준별, 즉 국가 교육과정 수준, 대학교 수준, 단위학교 수준에 있는 내러티브 역량 개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교육에서의 내러티브 역량 개발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들 방법을 통하여 내러티브 역량의 구체적인 개발 방안으로 브루너의 교육이론 적용, 교육과정 개발 측면, 수업 실천 측면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역량 개발을 위한 새로운 방향과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 다양한 학문분야와 학문분야에서 내러티브 역량의 응용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보다 효과적인 교수법과 평가방법을 모색하며 학교 교육 및 역량 개발을 위한 새로운 탐색을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narrative competence in schooling and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its development, focusing on Bruner’s theory. This study mainly adopted two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First, the literature review examined the methods and challenges of competence development in schooling, the importance of narrative competence, and the background of its emergence. Based on this, this study explores the direction of narrative competence development from three aspects: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nd instruction that reflects the importance of narrative. Second, through the case study method, this study analyzed narrative competence development cases at three levels in Korea: the national curriculum level, university level, and school level, and suggested ways to develop narrative competence in schooling. Specific ways to develop narrative competence include the application of Bruner’s educational theory, curriculum development, and classroom practice. This study provides new directions and ideas for competence development in schooling. In the future, we will conduct in-depth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narrative competence in various disciplines and fields of study, seek more effective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and provide new explorations for schooling and competence developmen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Narrative Competence
Ⅳ.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마징이(Jing-Yi Ma),강현석(Hyeon-Suk Kang). (2024).학교교육에서 내러티브 역량 개발 방향 탐구: 브루너의 이론을 중심으로.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9 (2), 83-121

MLA

마징이(Jing-Yi Ma),강현석(Hyeon-Suk Kang). "학교교육에서 내러티브 역량 개발 방향 탐구: 브루너의 이론을 중심으로."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9.2(2024): 83-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